1부 조선학교 바로알기
· Q&A 01 _이국땅에서 민족학교를 설립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을 텐데요. 언제, 어떻게 설립되었는지요?
· Q&A 02 _조선학교에서 ‘조선’이라는 이름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 Q&A 03 _조선학교는 전국에 몇 개나 있나요? 학생들은 얼마나 되는지요? 국적도 알고 싶습니다.
· Q&A 04 _아이들의 민족교육을 받을 권리를 위해 많은 힘겨운 투쟁이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역사적으로 대표적인 사건을 소개해주세요.
· Q&A 05 _조선학교가 지금까지 걸어오면서 겪었던 장애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요?
· Q&A 06 _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업료를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고교 무상화’ 제도의 대상에서 조선학교 10개교만이 제외되었습니다. 왜 이러한 차별을 하는 것인지요?
· Q&A 07 _일본 시민들은 조선학교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요?
· Q&A 08 _유엔에서는 이러한 조선학교 차별 문제에 대해 어떠한 권고를 해왔는지요?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궁금합니다.
· Q&A 09 _조선학교에 대한 차별에 대해 학교와 학생들은 어떻게 대항하여 왔는지요?
· Q&A 10 _일본 학교에 아이들을 보내면 수업료도 저렴하고, 차별받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부모님들은 어떤 심정으로 아이들을 조선학교에 보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Q&A 11 _조선학교를 북한의 학교로 보고 조선학교 출신자는 한국이나 일본의 ‘국익’을 해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일부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인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면 좋을까요?
· Q&A 12 _이북과 조선학교는 어떤 역사적 관계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과는 아무런 교류도 없었는지요?
· Q&A 13 _약 10년 전, 토지를 빼앗으려 한 도쿄도에 의해
다시, 조선학교
본격적으로 한국생활을 시작하던 10년 전, 조선학교를 졸업했다는 내게 누군가는 “한국으로 넘어와 줘서 고맙다”는 말을 하였다. 흔히 ‘조총련 학교’로 불렸던 오랜 시절을 생각하면 조선학교 출신자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 수 없었던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을지 모른다.
그 후 10년 사이에 한국 사회와 조선학교는 이전과 비교가 안될 만큼 가까워졌다. 학교 땅을 둘러싸고 도쿄도지사와 한판 싸움을 하고 있던 에다가와조선학교에 대한 지원모금운동은 언론을 통해 급속히 확산되었고 홋가이도조선학교의 사소하면서도 찐한 일상을 애정 있게 찍은 다큐멘터리 영화 「우리학교」도 기억에 새롭다. 또 2011년 일본 대지진 이후 후쿠시마조선학교를 지원하는 문화운동도 진행중이다. 올해 2014년에는 오사카조선학교 럭비 선수들의 모습을 담은 「60만 번의 트라이」가 전주영화제 무비꼴라쥬상을 받았다.
이 비약적인 교류와 연대를 이끈 것은 활동가와 언론인, 연구자들의 자기 성찰과 통일에 대한 소박한 꿈, 그리고 이에 말 없이 동참한 무수의 시민들이다. 조선학교를 둘러싼 활동들을 접하면서 나는 한국 사회의 평범한 시민들이 갖는 도덕과 양심을 봤다.
그런데 2014년 현재, 왜 다시 ‘조선학교’인가? 지금 이 지점에서 조선학교 문제를 조명하는 것에 무슨 의미가 있는가. 다시 질문하자면, 우리는 조선학교에 대해 정말 제대로 알고 있는가?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가끔씩 조선학교에 관한 내용을 가르치거나 영상물을 보이기도 한다. 학생들 감상문을 보니 대체적으로 호응은 뜨거운데 흔히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볼 수 있다.
“아이들의 순수함이 너무 좋다. 그런데 북한식 교육을 받고 있어 안타깝다. 학생들 절반 이상이 한국적이라는데 하루빨리 한국정부가 그들을 책임져야 한다”. 조선학교를 ‘조총련 학교’라며 기피했던 시절과 비교해 보면 이런 반응은 건전하다고 해야 할 것인가?
민주화 이후 자란 세대에게 조선학교는 좋든 싫든 새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