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_ 고종의 즉위 전후 상황
제1절 고종즉위 이전 군주권의 추이 및 통치양상
1. 세도정치의 배경
2. 철종대 안동김씨의 권력장악
3. 제1장 제1절 정리
제2절 고종의 즉위 상황
1. 고종의 즉위
2. 대원군의 등장
3. 제1장 제2절 정리
제2장_ 재위 전기 고종의 성학
제1절 고종의 강연진행 및 성학태도
1. 고종 강연의 배경
2. 강연의 진행
3. 권강기 강연의 내용
4. 제2장 제1절 정리
제2절 고종 강관의 구성
1. 시기별 강관의 구성
2. 강관 구성의 특징
3. 제2장 제2절 정리
제3장_ 대원군정권기의 통치
제1절 대원군의 권력기반 형성1. 대원군의 정치참여과정과 고종의 지지 2. 대원군의 권력기반 형성과 실태3. 제3장 제1절 정리
제2절 대원군의 통치정책
1. 왕궁재건 및 정부기관 증축에 의한 중앙권력의 확대·안정화정책2. 서원철폐와 무단토호억압에 의한 지방통제정책
3. 군사정책을 통한 재정확충 및 권력기반 확대
4. 제3장 제2절 정리
제4장_ 고종의 친정선포와 통치권 강화
제1절 1873년 고종의 친정선포과정1. 군주의 통치역량 형성과 발휘 및 친정 명분의 강화2. 고종의 친정선포과정3. 제4장 제1절 정리
제2절 군주 주도하의 통치권력 재편1. 정계개편을 통한 권력기반 형성과 강화2. 친정 직후 고종의 정책
3. 제4장 제2절 정리
한국 근대전환기의 고종 역시 이러한 진실공방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다. 혹자는 그를 근대적 문명개화를 추구한 개명군주라고 평가한다. 혹자는 고종을 수구반동으로의 회귀를 꾀한 과거지향적 전제군주라고 비판한다. 혹자는 고종을 능동적이고 명석한 인물이었다고 평하는 반면, 혹자는 우유부단하고 암약한 허수아비에 지나지 않았다고 말한다. 이처럼 1852년에 태어나서 1863년 왕위에 올라 1907년 순종에게 양위할 때까지 조선의 왕이자 대한제국의 황제였던 고종에 대한 진실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동일한 한 인물에 대해 이처럼 극과 극의 평가를 내리며 진실공방을 벌이는 것일까? 이러한 진실공방이 의미를 갖는 이유는 무엇이며, 의미를 갖도록 하기 위해 우리는 역사사실에 어떻게 접근해서 무엇을 밝혀야 하는 것일까?
이 책은 한국 근대전환기 고종의 통치활동에 관한 연구서다. 43년간의 고종 재위기 중에서도 고종의 군주로서의 사고, 즉 군주권, 통치권 등이 형성되는 전기를 다루어 그가 통치자로서 어떤 인식을 바탕으로 활동해 나갔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따라서 이 책 또한 고종을 향한 진실규명과 진실공방의 테두리 안에 놓일 수밖에 없다. 필자는 일단 당시 각종 사료를 현존하는 객관적인 사실로 받아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주관적인 평가와 결론을 내리며 고종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고종의 말과 행동을 검토하고 분석해 그가 왜 끝까지 왕위를 지키고자 했는지, 왜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로 등극했는지, 왜 스스로를 어버이로, 백성을 적자로 여겨 백성들을 정치에 참여시키기보다 보살피고 교화해야 할 대상이라고 판단했는지 등등을 통해 고종이라는 인물의 진실에 다가가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여기서 반드시 경계하고 주의해야 할 점은 역사사실의 자의적인 편집이나 인위적인 재구성이다. 역사사실의 근거가 되는 사료 자체의 진위 여부 및 사라졌거나 기록되지 않은 역사사실 여부도 염두에 두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항상 모든 가능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