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식민주의 전쟁, 군 위안부
저자 송연옥, 김귀옥 외
출판사 선인(도서출판
출판일 2017-05-20
정가 25,000원
ISBN 9791160680904
수량
감사의 글
[총론] 책 간행의 경위와 우리가 향하는 지평
1부 군위안부 제도의 역사적 규명 노력
01. 일본에서의 위안부 문제 연구 현황과 과제 |송연옥|
1. 들어가며
2. 위안부를 상기시켜온 일본 현대사
3. 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이 걸어온 4반세기
4.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학문적 연구 성과와 과제
02. 일본군 위안소 제도와 조선인 군위안부에 대한 이해 및 한국 사회의 과제 |윤명숙|
1. 들어가며
2. 용어에 대해서
3.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인식의 문제
4. 구라하시 마사나오의 위안부 정의: ‘성노예형’과 ‘매춘부형’을 중심으로
5. 일본군에 의한 성폭력 유형
6. 일본군 위안소 제도 및 조선인 군위안부를 둘러싼 두 가지 쟁점
7. 나가며
03. 북한의 ‘위안부’ 문제와 일본의 식민주의 |김 영|
1. 한일 정부 ‘합의’를 둘러싼 또 하나의 목소리
2. 북한의 증언자가 나올 때까지
3. 남북 공동 운동
4. 전 ‘위안부’ 정옥순(鄭玉順 할머니: 증언 듣기와 복합PTSD 치유
2부 계속되는 식민주의, 재탄생되는 군위안부
04. 내셔널리즘에서 식민주의로: 오키나와 A사인 제도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키쿠치 나츠노(菊地夏野|
1. 들어가며
2. ‘위안부’ 문제 현황
3. ‘위안부’ 문제에 있어서의 페미니즘 부재(不在
4. 페미니즘에 있어서의 ‘위안부’론
5. 중국과 한국의 내셔널리즘? 미국이라는 문제
6. 미군 섹슈얼리티sexuality 관리: ‘A사인 제도’
7. 자유의지와 강제, 미군과 일본군
8. 대안
05. 일본 식민주의와 친일파의 합작품, 한국군 위안소 제도 |김귀옥|
1. 들어가며
2. 역사 속의 한국군 위안부 제도
3. 한국군 위안부 제도를 만든 사람들
4.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통해서 본 한국군 위안부 제도
5. 맺음말: 한국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
06. 한국 기지촌 성매매정책의 역사사회학, 1953~1995년: 냉전기 생명정치, 예외상태, 그리고 주권의
2015년 12월 28일 한일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합의를 이루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갑작스레 발표된 양국 정부 간의 이 합의는 그간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에 심혈을 기울이며 꾸준히 노력해왔던 많은 사람들이 바라던 바와 너무나 거리가 먼 것이었다. 피해 당사자들이 납득하지 못하는 합의의 내용은 큰 실망을 안겨주었다.
그리고 이 문제 해결에 미국이 깊이 관여한 것을 보면, 이 문제가 결코 지나간 과거의 역사가 아니라 현재를 사는 우리와 관련되는 문제라는 것도 확인된다. 이와 같이 위안부 문제를 시간과 공간 축의 큰 틀에서 보기...
2015년 12월 28일 한일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합의를 이루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갑작스레 발표된 양국 정부 간의 이 합의는 그간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에 심혈을 기울이며 꾸준히 노력해왔던 많은 사람들이 바라던 바와 너무나 거리가 먼 것이었다. 피해 당사자들이 납득하지 못하는 합의의 내용은 큰 실망을 안겨주었다.
그리고 이 문제 해결에 미국이 깊이 관여한 것을 보면, 이 문제가 결코 지나간 과거의 역사가 아니라 현재를 사는 우리와 관련되는 문제라는 것도 확인된다. 이와 같이 위안부 문제를 시간과 공간 축의 큰 틀에서 보기 위해서는 식민주의와 전쟁, 군위안부라는 세 가지 코드를 중심으로 두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과거와 현재의 담론 속에 가려져 있는 위안소의 존재 형태를 시대별, 지역별로 밝혀가면서 피해자의 인권을 회복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 그런 학문적인 규명과 정의 정립을 위한 시민사회의 구축이 있어야만 궁극적인 해결과 화해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번 단행본은 2014년 12월 한국과 일본의 군위안부 문제 연구자들이 발표했던 원고를 기초로 하여 만들어졌다. 그 행사는 2014년 12월, 중앙대학교에서 개최되었던 2014년 후기 사회학대회(당시 학회장 윤정로 KAIST 교수의 특별 세션인 “21세기 계속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현황과 해법”(한국사회학회와 한성대학교 전쟁과평화연구소 공동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