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국내 이주 동북아 코리언의 정체성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고찰
1. 들어가는 말
2. 동북아 코리언의 국내 이주 원인: 글로벌과 내셔널의 중층적 결합
3. 계급·문화·국적의 충돌: 민족 동일화 욕망의 좌절
4. 정체성의 다양한 전략: 수평적 공동체로서의 민족
5. 나가며: 새로운 한(조선민족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제2장 ‘상상된 공동체’의 와해와 조선족들의 아비투스
1. 들어가며: 조선족 사회 변화와 심층면접조사
2. 분열되고 있는 조선족들의 이중정체성
3. 상상된 공동체의 좌절과 조선족정체성론 비판
4. 조선족들의 분열된 아비투스와 전략, 그리고 실패
5. 나가며: 한국인과 조선족 간의 상생을 위한 제안
제3장 ‘좌절된 욕망’의 집단적 심리와 고려인의 가치지향성
1. 고려인 심층 구술 인터뷰와 가치지향성 연구의 의미
2.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이주 원인과 이중의 ‘좌절된 욕망’
3. 고려인의 가치지향성과 가치충돌: 이중의 ‘좌절된 욕망’이 만들어 낸 집단심리
4. 미래의 통일 한(조선반도의 가치지형 구축을 위한 몇 가지 전제
제4장 ‘재일’ &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과 가치지향성
1. 들어가며: 재일 조선인의 역사적 특수성
2. 저항과 공생을 향한 낯선 타자로서의 삶
3. ‘국적=정체성’에 대한 전복적 부정으로서 ‘국적≠정체성’
4. 나가며: 재일 조선인과의 소통을 위하여
제5장 탈북자 가치관의 이중성과 정체성의 분화
1. 들어가는 말
2. 탈북자 가치관 및 정체성 형성의 배경
3. 가치관의 이중성
4. 정체성의 분화
5. 나오는 말
제6장 한국인들의 한국인들에 대한 공포: 한국인들의 통일 및 재외 동포에 대한 의식 구조 분석 및 전환을 위한 모색
1. 들어가며
2. 심층 구술 조사를 통해 바라본 한국인들의 의식 구조
3. 신자유주의 주체의 공포
4. 의식 전환을 위한 모색: 시테에 대한 권리(droit de cit?를 향하여
제7장 국내 이주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변용과 가치지향:
민족 공통성 세 번째 시리즈의 책 제목은 『유동하는 코리언의 가치지향』, 『코리언의 생활문화, 일상의 울타리』, 『구술로 본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입니다. 동북아 코리언은 한국사회와의 대면을 계기로 계급, 국적, 문화 등 여러 영역에서 갈등을 경험하면서 균열되고 분화되고 있는 생활문화, 역사적 트라우마, 정체성의 복합적 양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동북아 코리언은 같은 ‘민족’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한국으로 이주해왔지만, 민족적 연대감이 결여된 냉혹한 자본의 논리를 앞세우는 한편, 자신들의 이중정체성을 인정하지 않거나 거주국의 사...
민족 공통성 세 번째 시리즈의 책 제목은 『유동하는 코리언의 가치지향』, 『코리언의 생활문화, 일상의 울타리』, 『구술로 본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입니다. 동북아 코리언은 한국사회와의 대면을 계기로 계급, 국적, 문화 등 여러 영역에서 갈등을 경험하면서 균열되고 분화되고 있는 생활문화, 역사적 트라우마, 정체성의 복합적 양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동북아 코리언은 같은 ‘민족’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한국으로 이주해왔지만, 민족적 연대감이 결여된 냉혹한 자본의 논리를 앞세우는 한편, 자신들의 이중정체성을 인정하지 않거나 거주국의 사회적 조건에 맞게 체화된 생활문화적 아비투스를 민족문화의 변질로 여기는 ‘한국인의 삶의 방식에 직면하면서 끊임없는 좌절을 경험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들은 민족적 동일화에 대한 기대가 좌절되면서 생존전략 차원에서 한국인과 스스로를 경계를 지으면서 자신들만의 생활문화와 정체성 등을 재구성하는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생존 전략들은 획일적으로 일원화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균열하고 갈등하면서 분화하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경향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동북아 코리언은 한국사회의 차별로 인해 거주국 지향으로 바뀌기도 하지만, 한국사회의 구성원이 되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하기도 하며, ‘같은 민족’으로부터 받는 차별에 저항하면서 그들만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거나 민족의 불평등한 위계를 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