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부 통일방안에 대한 인문적 검토
제1장 연방제 통일방안에 대한 인문적 성찰
1. 들어가며: ‘연방제 통일방안’과 ‘인문학’
2. 한반도 통일방안의 역사적 개요와 연방제 통일론의 문제제기
3. 연방제 통일론의 의의와 쟁점
4. 연방제 통일론에 대한 인문적 성찰과 핵심 원리
5. 나가며: 연방제 통일론의 전망과 인문적 통일론
제2장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반성적 고찰
1. 들어가며
2. 한반도 중립화 통일의 필요성과 단계적 통일방안
3.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비판적 성찰
4. 중립화통일론의 근본적 한계와 통일 패러다임의 전환
5. 나가며
제3장 통일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관점의 전환
1. 들어가는 말
2. ‘민족공동체 통일방안’과 ‘남북연합’의 의미
3.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수정·보완 논의와 ‘남북연합’의 위상
4. 관점의 전환: ‘사람의 통일’과 ‘통일 과정의 기본 가치’
5. 나가는 말
Ⅱ부 통일의 기본가치
제4장 통일의 동력으로서 민족이라는 새로운 ‘환상체계’
1. ‘통일’과 ‘민족’의 이념적 결합은 과연 가능한가?
2. 한반도 민족주의의 이중적 흐름과 그 한계: ‘민족’의 아포리아
3. 탈민족주의 비판 그리고 다시 요구되는 ‘민족’과 ‘통일’의 이념적 결합
4. 민족이라는 ‘환상체계’ 구축 전략과 남겨진 문제들
제5장 통일과 평화의 길항관계: 통일이념, 통일국가형태, 민족성과 국가성의 충돌
1. 들어가는 말: 통일과 평화의 분기(分岐
2. 통일의 이념: 민족주의와 보편적 가치의 결합
3. 통일국가의 형태: 단일민족국가와 복합적 정치공동체
4. 국가성과 민족성: 충돌과 균형
5. 나가며: ‘적극적 평화’ 개념과 평화체제
제6장 통일과 민주주의: 에트노스와 데모스의 변증법
1. 통일과 민주주의
2. 붙잡을 수 없는 데모스
3. 에트노스와 데모스의 변증법
4. 우리, 코리아의 시민들?
제7장 통일의 변증법과 민족적 연대의 원칙
1. 들어가며: 통일 사유에서 연대의 필요성
2
‘민족공통성 네 번째 시리즈’ 제3권 『구술로 본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에서 우리의 역사 속 통합서사의 사례들을 전근대의 설화 및 소설 그리고 오늘날 분단소설과 영화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통합서사의 모습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점입니다. 우선 방법론적으로 분단서사를 치유하는 ‘통합서사’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통합장치로서 문학적 서사방법들을 탐색했습니다. 또한 『삼국유사』에 수록된 설화적 서사기법 분석을 통해 고려 건국의 사회통합 기능을 살펴보거나 고소설의 서사기법 분석을 통해 병자호란 이후 여성의 상...
‘민족공통성 네 번째 시리즈’ 제3권 『구술로 본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에서 우리의 역사 속 통합서사의 사례들을 전근대의 설화 및 소설 그리고 오늘날 분단소설과 영화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통합서사의 모습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점입니다. 우선 방법론적으로 분단서사를 치유하는 ‘통합서사’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통합장치로서 문학적 서사방법들을 탐색했습니다. 또한 『삼국유사』에 수록된 설화적 서사기법 분석을 통해 고려 건국의 사회통합 기능을 살펴보거나 고소설의 서사기법 분석을 통해 병자호란 이후 여성의 상처와 치유에 관한 통합서사의 의미를 해명하였습니다. 나아가 오늘날 대중적인 분단소설과 영화 그리고 전쟁을 직접 경험한 세대들의 구술담을 통해 통합서사가 지향해야 할 핵심적 가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이를테면 분단체제로 인해 억압되어 있는 욕망의 해소, 고통의 연대적 공감을 통한 다시 기억하기, 타자와의 교감과 공존적 관계의 형성 등이 통합서사 형성에서 핵심적 가치라는 점을 제시하였습니다.
넷째, ‘민족공통성 네 번째 시리즈’에 수록된 내용이 통일인문학연구단 연구진뿐만 아니라 재중 조선족 및 재일 조선인 학자들의 연구성과를 포함하고 있는 점입니다. 저희 연구단은 그동안 통일의 범주를 남북 주민은 물론이고 전 세계의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통합으로까지 확대해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외에 거주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