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해항도시와 초국경 네트워크
1. 왜 해항도시 네트워크인가?
2. 초국경 네트워크의 의미와 쟁점
3. 새로운 월경협력의 형성과 원인
4. 해항도시 네트워크 이론의 창성
제2장 중세 한자 네트워크와 문화교섭
1. 중세 한자 네트워크의 의의와 기능
2. 중세 한자 네트워크 공간의 문화교섭
3. 중세 한자 네트워크의 평가와 의미
제3장 현대 발트해 공간과 도시네트워크
1. 발트해 공간의 역사와 특징
2. 현대 발트해 공간의 탈국민국가적 네트워크
3. 현대 발트해 도시네트워크의 활동과 성과
4. 현대 발트해 도시네트워크의 평가와 의미
제4장 북유럽 외레순드와 초국경 통합
1. 외레순드 초국경 지역의 개관
2. 외레순드 초국경 지역의 거점도시
3. 외레순드 초국경 통합의 추진과정
4. 외레순드 초국경 통합의 쟁점과 이슈
5. 외레순드 초국경 통합의 함의와 교훈
제5장 페마른 벨트와 초광역 네트워크
1. 페마른 벨트와 초국경 지역의 확장
2. 페마른 벨트의 지리적 거점과 개발
3. 페마른 벨트의 미래수요와 기대효과
4. 페마른 벨트의 네트워크 활동과 성과
5. 페마른 초광역 네트워크의 담론과제
제6장 말라카·싱가포르 해협과 접경성장지대
1. 동남아시아의 상황과 초국경 협력
2. 접경성장지대의 지리와 도시 개관
3. 접경성장지대의 월경실태와 이동경로
4. 접경성장지대의 형성배경과 추진동인
5. 접경성장지대의 운영성과와 과제
6. 동아시아 해역권의 시사점과 미래구상
제7장 한·일 해협과 월경공동체 협력
1. 동북아시아 한·일 해협의 지역개관
2. 한·일 해협 초국경 경제권의 현황
3. 한·일 해협 초국경 경제권의 성공조건
4. 한·일 해협 초국경 경제권의 발전과 미래
제8장 우리나라 해항도시와 국제교류
1. 해항도시 국제교류의 배경과 의의
2. 해항도시와 국제교류의 논리적 조건
3. 해항도시와 국제교류의 현황과 문제
4. 해항도시와 국제
국경을 넘는 새로운 해항도시 네트워크
개방과 소통의 바다를 그리며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는 2014년 4월에 인문한국(HK지원사업 《해항도시의 문화교섭학》 기획총서 시리즈 중의 하나로서 《해항도시와 초국경 네트워크》를 출간하였다.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는 기존의 국가 중심 패러다임을 극복하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바다를 중심에 놓고 해항도시에 초점을 두면서 그 속에서 발생하는 문화교섭 현상에 주목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연구소는 인문한국(HK 연구인력과 연구소의 중요한 연구성과를 집대성하...
국경을 넘는 새로운 해항도시 네트워크
개방과 소통의 바다를 그리며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는 2014년 4월에 인문한국(HK지원사업 《해항도시의 문화교섭학》 기획총서 시리즈 중의 하나로서 《해항도시와 초국경 네트워크》를 출간하였다.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는 기존의 국가 중심 패러다임을 극복하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바다를 중심에 놓고 해항도시에 초점을 두면서 그 속에서 발생하는 문화교섭 현상에 주목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연구소는 인문한국(HK 연구인력과 연구소의 중요한 연구성과를 집대성하고 소개하는 것을 핵심사업 중 하나로 두고 있다.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소속 인문한국(HK 연구인력인 우양호(HK교수, 박민수(HK교수와 정진성(유럽학과 교수으로 구성된 집필진은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전공하고 있다. 필자들은 그동안 수많은 연구와 강의를 해오면서 해항도시의 개방성, 초국가적 영역성, 네트워크와 교류성 등의 내용을 독자들에게 쉽고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저서의 필요성을 몸소 절감해 왔다고 한다. 그리고 이 책에서 필자들은 해항도시 초국경 네트워크 구축과 새로운 월경지역의 형성이라는 주제에 대한 기존의 국민국가적 발상, 육지 중심적 사고의 전환을 뒤바꾸는 첫걸음을 내딛고자 하였다. 이 책이 철저하게 현실세계의 사례와 증거 위주로 쓰여진 가장 중요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구촌 인류가 바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