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한국전쟁기 남.북한의 점령정책과 전쟁의 유산
저자 0
출판사 선인(도서출판납품
출판일 2018-01-18
정가 45,000원
ISBN 9788959337743
수량
제1부 점령·통치
- 한국전쟁기 북한 점령하의 남한 인민위원회 선거 | 기광서
- 한국정부와 유엔의 북한지역 점령정책 구상과 통치-타협과 현실의 괴리 | 양영조
- 한국전쟁기 북한의 점령과 지방사회의 변화-경기도 시흥군의 사례 | 정병준

제2부 토지개혁
- 한국전쟁기 북한의 남한지역 토지개혁 | 기광서
- 한국전쟁기 북한의 점령지역 토지개혁-경기도 화성군 안용면 안녕리의 사례 | 오보경

제3부 동원
- 한국전쟁기 북한의 점령지역 동원정책과 ‘공화국 공민’ 만들기-경기도 시흥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병준
- 북한의 남한 점령기 ‘의용군’ 동원과 운용-의용군명부·포로심문조서를 중심으로 | 정병준

제4부 학살
- 북한의 남한 점령기 민간인 학살-한국정부와 미군(KWC 조사기록의 비교를 중심으로 | 양영조
- ‘봉기’와 ‘학살’의 간극-황해도 신천 사건 | 한모니까
- 인민군 후퇴기 북한 지역 학살 양상-한국전쟁범죄조사단 자료를 중심으로 | 황윤희

제5부 포로
- 유엔군의 포로 정책 -‘석방’과 ‘송환’을 중심으로 | 김보영
- 한국전쟁기 중립국 선택 포로의 발생과 그 성격 | 이선우

제6부 유산
- 유엔군의 해상봉쇄·도서점령과 NLL | 김보영
- 한국전쟁 이후 ‘수복지구(收復地區’에서의 농지개혁법 적용 과정과 그 의미 | 한모니까
한국전쟁기 북한·남한·유엔군은 점령한 상대 지역에서 적대체제를 청산하고 자신의 체제를 이식하기 위한 다양한 점령정책을 펼쳤다. 점령지에 속한 사람들은 그 호칭이 국민·인민·공민·주민 중 어떤 것이든지 점령기의 적대적 동원·포섭·배제의 극한을 경험해야 했다.

북한은 1950년 6월부터 9월까지 낙동강 방어선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을 점령했으며, 남한과 유엔군은 1950년 10월부터 12월까지 평양·원산·함흥 등 북한 지역의 대부분을 점령했다. 또한 유엔군은 종전 이후 수년간 소위 ‘수복지구’로 불리는 인제·양양·고성·철원 등 새로 점령한 38선 이북 북한지역을 관리했다. 북한은 한국전쟁기 점령한 개성 등 38선 이남 지역을 ‘신해방지구’로 명명하며 특별히 관리했다. 이처럼 한국전쟁으로 북한의 남한 점령, 남한·유엔군의 북한 점령, 유엔군의 수복지구 점령, 북한의 신해방지구 점령이라는 네 시기·네 종류의 점령형태가 발생했고, 그에 따른 점령정책이 구사되었다.

이 연구는 이 가운데 북한의 남한 점령정책, 남한·유엔군의 북한 점령정책, 유엔군의 ‘수복지구’ 점령정책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북한·남한·유엔군(미국이라는 세 행위주체가 남한·북한·수복지구를 점령한 후 구체적 점령정책을 통해 구체제를 파괴하고 신체제·점령체제를 구축·이식하는 과정을 추적하는 한편 그것이 남긴 유산과 장기지속적 영향을 파악하려 했다. 점령정책, 토지개혁, 동원, 학살, 포로, 유산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통해 점령정책 기본 구상과 구체적 실행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북한·남한·유엔군(미군이라는 점령주체가 남한·북한의 점령지역과 수복지구에서 행한 점령정책, 토지(농지개혁, 동원, 학살, 포로문제 등을 새로 발굴한 북한노획문서 등 당대의 자료를 통해 실사구시적으로 해명한 것이다. (책머리에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