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영상과 아카이빙 그리고 새로운 역사쓰기
저자 허은 (엮음, 쥬시 피
출판사 선인
출판일 2015-08-31
정가 28,000원
ISBN 9788959339143
수량
1부 영상자료의 수집과 활용, 현황과 과제
1. 기록영상물의 공공재화와 영상역사 쓰기의 새로운 모색: ‘제국-국민국가’ 서사의 너머 보기와 ‘공중(公衆의 역사’ 쓰기
2. 사료로 인정받기까지 아카이브의 긴 여정 : 프랑스의 경우
3. 영상역사연구의 쟁점들

2부 영상과 역사 - 식민과 제국
1. 대만 영화사에서의 ‘식민지와 제국, 탈식민지주의’
2. 식민지 조선의 문화영화와 그 기원 : 조선총독부 제작 문화영화를 중심으로
3. 의례, 역사, 사건의 재구성 : 고종 장례와 역사 쓰기

3부 영상과 역사 - 냉전과 동아시아
1. 중국 다큐멘터리와 조선전쟁
2. ‘원자력의 혜택’을 세계로 : 냉전 초기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관련한 미국 공보원(USIS 영화에 대해서
3. 프레임 속의 전쟁 : 국립영화제작소와 국군영화제작소의 베트남전쟁 영화를 중심으로

4부 영상과 역사 - 분단과 ‘지체된 전후’
1. 영상기록물에 담긴 ‘해방공간’과 저항의 시간들
2. 내셔널 히스토리 사이에서 : 전후 일본 텔레비전이 그린 한국인 BC급 전범 문제
20세기 역사를 특징짓는 주요한 사실 중 하나로 영상매체가 정보전달의 주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는 사실을 빼놓을 수 없다. 사진에서부터 영화, 텔레비전 등이 없는 20세기의 삶은 상상할 수 없다. 20세기 제국질서와 식민지 지배, 그리고 20세기 후반 냉전시대 민족국가의 족출, 체제경쟁과 동아시아 열전은 매체와 발전과 함께 대중의 일상생활과 의식 깊숙이 영향을 끼쳐왔다. 또한 영상은 시공간의 간극과 거리를 뛰어넘어 과거와는 전혀 다른 세계관을 만들어 갔다. 나사 우주선의 달 착륙이나 베트남전쟁에 참여한 파월장병의 모습을 담은 보도영상을 극장판 보도뉴스나 TV뉴스를 통해 접하며 한국인은 과거 식민지 조선인의 그것과는 완전히 다른 세계관을 지니게 되었다. 사실 전달 측면에서 영상매체의 대중적 영향력은 문자의 영향력을 일찍 압도했고, 통신기술의 발달로 의사소통에서도 주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매체의 효과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던 제국질서의 패권국가와 국민국가의 통치자들은 대중을 신민 또는 국민으로 만드는 선전수단으로 영상매체를 활용했다. 선전영화나 뉴스영화는 두말할 것도 없고 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영화도 제국주의 국가나 냉전시대 진영 헤게모니 국가가 전개하는 통치이념과 근대화를 정당화하고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일조했다. 제국주의, 식민주의, 민족주의, 탈식민주의, 국가주의와 냉전 반공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우리의 의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규율하고 심지어 확고한 신념으로서 자리 잡게 되었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방대하게 제작된 영상매체를 탐색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살아있는 영상을 이해하는 데는, 많은 연구자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감독, 촬영자의 개입 그리고 기술의 발달까지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 제작자였던 제국과 국민국가의 의도와 다른 맥락에서, 심지어 균열을 내는 영상들이 만들어져 왔다는 사실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이 책은 이상의 고민을 토대로 2014년 7월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