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북한을 읽는 렌즈, 여성과 “꾸미기” 활동
일러두기
Ⅰ. 연구 소개
1. 기획의도
2. 연구방법 소개
1 심층면담
(1 면담 대상자 표기 방법 소개
(2 면담 대상자 소개
(3 면담 대상자 보호
2 문헌분석과 분석대상 자료 소개
3 클리포드 기어츠의 “치밀한 묘사 (Thick description” 시도
3. 시기구분법
1 제1단계: 1990년대
2 제2단계: 2000년대
3 제3단계: 2010년대
4 1990년 이후 10년 단위 3단계 시기 구분
Ⅱ. 1990년대: 북한 여성의 일상생활에 꾸미기 “추세” 등장하다
1. 전반적 꾸미기 관행의 흐름과 변화
1 꾸미기 욕구와 통제의 충돌
2 외부 물품의 유입: “째포가 들여오는 본산 고가품과 중국에서 들어오는 생필품”
(1 새로운 유행을 들여오는 사람들 “째포” 등장
(2 중국친척, 무역항을 통해 해외물품이 들어오기 시작하다
3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과 꾸미기 “추세” 등장
4 1990년대 중후반 “고난의 행군”: 배는 고파도 꾸미는 것은 본능
2. 장마당 뷰티의 시작
1 중국산 ‘삐아스’와 크림
2 성형수술/시술, 문신을 통한 반영구 화장
3. “못 먹어도 챙겨 입기”: 옷차림 관행과 유행
1 “기성을 떨쳐입고”
2 북한식 TPO: 행사용 복장과 규찰대 단속
3 “권위 있는 세대주, 예쁜 옷 입은 자녀” 만들기: 여성의 가족 옷차림 챙기기
4. “그쯘하게 집 꾸리기”
1 삼면 경대와 5장 6기 갖추기
2 혼수와 예단
Ⅲ. 2000년대: 꾸미기 시장에서 북한 여성이 욕망을 표출하기 시작하다
1. 다양한 변화의 시작
1 빈부격차가 벌어지기 시작한 시기
2 “더 나은 미래, 뒤처지지 않는 삶” 추구
3 북한당국의 대응, 설득과 금지의 반복
2. 공용재산에서 실질적 사유재산으로: 집 꾸미기
3. 뛰는 단속 위에 나는 유행: 차림새
1 한국 드라마 보고 연예인 옷 따라입기
2 단속과 규제를 둘러싼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