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르트,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레비나스, “나는 대답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나’가 먼저일까, ‘타자’가 먼저일까?
‘나다움’을 정의하는 본격 철학 토론!
이제 본격적으로 ‘나’에 대해서 정의해 보자. 그런데 잠깐, 내가 생각하는 나의 모습이 맞는 건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 평소 생각했던 나의 장단점도 객관적으로 보이지 않고, 잘한다고 생각했던 것이 그저 좋아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생각도 든다. 도대체 ‘나다움’은 어떻게 정리해야 할까?
놀랍게도 오래전에 살았던 철학자들도 우리와 같은 고민을 했다! 이 책에 등장하는 데카르트와 레비나스 모두 ‘나’에 대해 아주 골똘히 생각한 끝에 각자의 결론을 얻었는데, 재미있게도 상반된 주장을 펼쳤다. 나라면 누구의 손을 들어줄 것인가?
먼저 데카르트는 ‘생각을 하는 존재인 나는 변하지 않는 정신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한다. 자기 자신의 존재조차도 의심했던 데카르트는 현실이 꿈이라 하더라도 꿈을 꾸는 정신적 존재인 ‘나’는 확실하기 때문에 ‘나’는 곧 ‘변하지 않는 정신’으로 생각했고, 변하지 않는 ‘나’가 불확실한 존재인 ‘너’보다 더 중요하다고 여겼다.
반대로 레비나스는 ‘나의 존재를 위해서는 타인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도리어 혼자 있을 때는 힘이 없고 타인의 요청에 반응할 때에야 비로소 능동적인 ‘나’가 탄생한다고 생각했다. 진정한 내가 된다는 것은 나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 역시 중요하게 여기는 ‘책임지는 나’가 된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 책은 두 철학자의 이야기를 들으며 평소 ‘나’를 규정했던 방식에 대해 돌아보게 한다. 사람은 크게 나를 중심으로 생각하거나 친구, 즉 타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데카르트와 레비나스의 이야기를 통해 나의 유형을 알아보며 미처 몰랐던 나의 모습과 새삼 마주하게 될 것이다. ‘테세우스의 배’, ‘아브라함 이야기’ 등 흥미로운 이야기를 통해 펼쳐지는 대화에서 두 철학자의 생각은 때때로 충돌하고 주인공 아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