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분단건국의 길이 뚜렷해져 가고 있는데······
1. 미소공동위원회를 떠나 유엔으로
1947년 9월 3~26일
1947. 9. 3. 미국 정책의 변화를 가져오지 못한 웨드마이어 특사
1947. 9. 7. 갈림길에 선 이승만과 김구
1947. 9. 17. 조선 문제, 드디어 유엔으로
1947. 9. 19. 1947년의 유엔은 어떤 기구였나?
1947. 9. 21. 유엔 안보리의 거부권, ‘비민주적’인 것인가?
1947. 9. 24. “미소공위 끝났어요? 그럼 집에 갑시다”
1947. 9. 26. 민족주의자 이시영의 세 차례 퇴진 성명
안재홍 선생에게 묻는다 미국은 왜 미소공위를 버리는가?
해방의 시공간-일지로 보는 1947년 9월
2. 미군정이 키워낸 ‘부패공화국’
1947년 10월 3~31일
1947. 10. 3. 미국인이 본 일본인 그리고 조선인
1947. 10. 5. 마셜플랜이 미소공동위원회에 끼친 영향
1947. 10. 8. 친일파 옹호는 미군정의 임무!
1947. 10. 12. 군정청 상무부는 이권의 복마전?
1947. 10. 15. 장택상식 ‘거지 단속’과 ‘폭동음모 분쇄’
1947. 10. 17. 조선 문제 드디어 유엔에 상정
1947. 10. 19. 미국 ‘좌경 저널리스트’가 본 조선의 분단건국 과정
1947. 10. 21. 10월 21일, 대한민국 ‘경찰의 날’이 될 수 없다
1947. 10. 24. 재산 뺏긴 김지태, 인격까지 짓밟아야 하나?
1947. 10. 29. “나는 대한민국을 비판적으로 지지한다”
1947. 10. 31. 미·소 간 적대적 공생관계의 산물, 조선 분단
안재홍 선생에게 묻는다 “김구 선생도 불순부정(不純不正한 우익인가요?”
해방의 시공간-일지로 보는 1947년 10월
“분단건국의 마지막 수순, 미소공위를 떠나 유엔으로”
1947년 11월 14일 유엔총회에서 미국이 제안한 유엔 감시하의 남북총선거를 통한 한국정부 수립안이 가결됨으로써 유엔의 한국문제 개입이 시작되었다. ‘반탁’을 내걸고 미소공위 반대투쟁을 해온 친일파 중심의 ‘대한민국 건국 주도세력’은, 미국이 드디어 미소공위를 버리고 유엔으로 가자, 분단건국의 마지막 수순에 열을 올렸다. 소련이 이북 지역을 점령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엔의 조선문제 개입은 그야말로 전쟁의 위험을 만들어낸 조치였다. 이 위험에 대해 조선의 정치세력은 어떤 반응을 보였는가.
‘해방공간’의 역사적 의미를 되살리는 역사학자 김기협의 대장정, 그 여덟 번째 책『해방일기 권 - 의미를 잃어버린 해방』은 조선 문제가 미소공동위원회를 떠나 유엔으로 가게 된 까닭과 함께 이에 대한 조선의 정치세력의 대응을 주시하며 대한민국 건국과정에 있었던 문제점을 있는 그대로 바라본다. 가장 큰 문제는 분단 상태다. 건국 과정에 어떤 문제들이 있었는지, 그 문제들에 대한 어떤 책임이 이승만 세력과 김일성 세력, 미국과 소련에 있었는지 치밀하게 따지는 것이 분단 극복을 위해서도 필요한 일일 것이다.
미·소 간 적대적 공생관계의 산물, 조선 분단
미국은 미소공위를 배제하고 안보리마저 회피하며 수적 우세를 자신할 수 있는 유엔총회로 조선 문제를 가져간 것은 소련의 동의 없이 한국의 정부수립을 추진하겠다는 뜻이었다. 유엔에서는 일사천리로 미국이 원하는 ‘가능지역 총선거’가 결정되었다. ‘가능지역’이란 바로 미국 점령하의 이남 지역을 뜻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소련은 ‘조기 철군’과 조선인의 자주적 결정을 주장하며 유엔 결정을 보이콧했다. 저자는 소련의 대응 방식을 ‘모 아니면 도’로 평가하며, 미·소간 적대적 공생관계가 한반도의 분단건국의 조건을 완성되었다고 본다. 소련은 왜 현실성 없는 주장만 하다가 원치 않는 결의안이 나오자 향후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