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서평
정철이었는가, 유성룡이었는가?
4백년 묵은 기억에 대한 역사학적 비판
“몇 년 전, 나는 어떤 역사학자와 논쟁을 한 적이 있었다. 그는 역사대중화를 이끈다는 유명한 사람, 이덕일이었다. 막상 논쟁이 시작되면서 나는 아차, 싶었다. 논쟁은 2합(合을 넘기지 못했다. 생산적인 성과를 남기지 못하고 논쟁은 종결되었다. 논쟁의 성과나 가치에 대한 순진한 기대도 그때 접었다.”
그러나 오항녕(전주대 역사문화학과 교수은 이 스쳐지나간 논쟁에서 소중한 역사학의 논제를 건져 낸다. 기축옥사의 어떤 기억을 둘러싼 변주. ...
정철이었는가, 유성룡이었는가?
4백년 묵은 기억에 대한 역사학적 비판
“몇 년 전, 나는 어떤 역사학자와 논쟁을 한 적이 있었다. 그는 역사대중화를 이끈다는 유명한 사람, 이덕일이었다. 막상 논쟁이 시작되면서 나는 아차, 싶었다. 논쟁은 2합(合을 넘기지 못했다. 생산적인 성과를 남기지 못하고 논쟁은 종결되었다. 논쟁의 성과나 가치에 대한 순진한 기대도 그때 접었다.”
그러나 오항녕(전주대 역사문화학과 교수은 이 스쳐지나간 논쟁에서 소중한 역사학의 논제를 건져 낸다. 기축옥사의 어떤 기억을 둘러싼 변주. 기축옥사는 1589년(선조 22에 벌어진 조선시대 가장 큰 옥사 중의 하나였다. 정여립 모반 사건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 당시 이발이라는 사람이 연루되었는데 그의 어머니와 어린 아들이 감옥에 갇혀 신문을 당하다 죽고 말았다. 여든이 넘은 노인과 어린아이가 죽었으니 지나치게 혹독한 국문이라는 여론의 지탄이 쏟아졌다. 그러다 보니 추국청의 책임자인 위관 역시 지휘 책임을 면할 수 없었다. 문제는 여기서 생겼다. 사건 당시 위관이 정철인가? 유성룡인가? 이 책은 그 추적 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2009년 논쟁 당시, 이덕일(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은 그 사건이 1590년(선조 23 정철이 위관이었을 때라 주장하였고, 이 책의 저자인 오항녕은 1591년(선조 24 유성룡이 위관이었을 때라고 반론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