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조선의 9급 관원들 - 너머의 역사책 6
저자 김인호
출판사 너머북스(A
출판일 2011-12-09
정가 16,500원
ISBN 9788994606101
수량
머리말 “하찮으나 존엄한” 가장자리에서 바라본 조선시대 사람들

1부 조선 관료제의 손과 발
남의 나라 말을 익혀라, 통사(通事
법집행의 손과 발, 소유(所由
길 잡고 심부름하던 나라의 종, 구사(丘史
말을 고치는 수의사, 마의(馬醫
수학과 계산을 위해 살다, 산원(算員

2부 궁궐의 가장자리에 선 사람들
국왕의 앞길을 인도하다, 중금(中禁
인간 삶의 기본, 음식을 다룬 숙수(熟手
기생인지 의사인지 모를 의녀(醫女
시간을 제대로 알려라, 금루관(禁漏官

3부 나랏일에 공을 세워야
호랑이를 잡아라, 착호갑사(捉虎甲士
목숨을 걸고 뛴다, 간첩(間諜
말을 바쳐라, 목자(牧子
바다가 삶의 터전이다, 염간(鹽干
조운선을 운행하다, 조졸(漕卒

4부 나는 백성이 아니옵니다
서럽고 서러워라, 비구니(比丘尼
사람들을 즐겁게 하라, 광대
눈이 멀었으니 미래가 보인다, 점쟁이
놀고 먹는다, 유수(遊手와 걸인
죽음을 다루는 직업, 오작인(?作人과 망나니
소를 잡아서 먹고 살다, 거골장(去骨匠
한국인은 왜 공무원이 되기를 열망할까? “예나 지금이나 적어도 먹고 사는 일만큼은 해결할 수 있어서가 아닐까.”

호환은 늘 백성들과 왕조의 위협이었다. 실록에 따르면 1392년(태조 1부터 1863년(철종 14까지 호랑이가 937회 나타났으며, 피해를 입은 사람은 총 3,989명으로 집계된다. 물론 실제 피해는 이보다 훨씬 컸다. 때문에 조선왕조에서는 호랑이 전문사냥꾼을 길렀는데 이들이 착호갑사이다. 『경국대전』에는 착호갑사를 440명 두도록 규정하였는데, 지방은 절도사가 군인과 향리, 역리, 노비 중에서 따로 뽑았다.
호랑이 사냥은 맹수를 없애는 그 이상으로 필요한 일이었다. 기우제에 호랑이 머리가 사용되었으며, 가죽은 주요 공물이자 이익 수단이었다. 면포 30여 필했던 호랑이 가죽의 가격은 15세기 말경에 80여 필이 되었고, 16세기 중엽에는 400여 필에 이르게 되었다. 그만큼 수요가 많았기 때문이다. 조선후기에 이르면 호랑이의 숫자도 줄어들면서 착호갑사는 거의 사라지고 전문 사냥꾼만이 남게 된다. 착호갑사는 위험한 일인 만큼 출세의 기회가 주어졌던 전문직이었다.
이 책에서 저자가 보려 했던 역사는 국왕이나 영웅, 공주와 같은 별난 사람들이 아니다. 오늘날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는 보통사람들이다. 그렇다고 백성들은 아니었다. 오히려 백성들 입장에서는 선망해 마지않는 부류가 더 많았다. 적어도 그들은 나랏일을 하는 사람들이었다. 권력의 틈바구니에서 억울한 일을 당하기도 했지만 권력의 끝자락에서 때로는 수탈에 앞장서거나 부정을 저지르기도 하였다.
산원은 조선 관료제의 전문직 중의 하나였다. 지식과 기술을 이용하여 땅의 면적과 수확량을 측정하고 정부 물품을 관리하는 등의 실무자였다. 1620년(광해군 12 호조좌랑 이둔과 수하 산원은 세금 매기는 임무를 맡고 남쪽으로 향한다. 좌랑 이둔은 기생을 끼고 술 마시고 주정 부리는 일만 거듭했다. 일은 실제 산원이 맡는다. 세금은 뇌물의 양에 달려 있고, 수확량의 풍흉과도 상관이 없었다. 그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