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조선왕조의 기원 고려 조선 교체의 역사적 의미를 실증적으로 탐구한 역작
저자 존 B. 던컨
출판사 너머북스(A
출판일 2013-03-18
정가 25,000원
ISBN 9788994606187
수량
목차
1장 고려의 정치제도
중앙 정치제도
왕권 │ 중앙 관료 제도의 창출 │ 무신 치하의 제도 개혁
지방행정 제도
지방의 사회·정치적 질서 │ 중계적 지방 관서를 설치하려는 시도 │ 군현의 통제
자원을 둘러싼 갈등
전시과 │ 그 밖의 토지자원들
결론
2장 중앙 관료적 귀족의 흥기
고려 전기의 중앙 관원층
고려 전기의 주요 가문들 │ 주요 가문의 기원 │ 등용 제도와 사회적 지배층 │ 중앙 관원의 경력 유형 │ 요 가문의 융성
고려 후기의 주요 가문들
고려 후기의 중앙 관원층 │ 등용 제도 │ 경력의 유형 │ 권문세족과 사대부 문제
중앙 가문의 경제적 기반
고려 전기 │ 고려 후기
결론
3장 왕조 교체기의 양반
조선 개창기의 중앙 관원층
1392~1400년의 중앙 관원층 │ 태종 초반(1401~1405의 중앙 관원층 │ 지파의 연합 │ 등용 제도
양반 가문의 내부 구조
조선 전기 주요 가문의 세계 │ 주요 가문의 혼인 관계
15세기 중반의 주요 양반 가문들
15세기 중반의 관원층 │ 15세기 중반의 과거제도 │ 주요 중앙 양반 가문
조선 전기 양반의 경제적 재원
결론
4장 고려 후기의 제도적 위기
권력투쟁
고려 후기 정치제도의 구조 │ 원 간섭기의 정치권력 │ 원 간섭기 이후의 정치권력 │ 개혁의 시도
자원의 장악을 둘러싼 투쟁
외침 │ 중앙 세력의 지방 수탈 │ 재정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
신분제도를 유지하려는 투쟁
문제의 기원 │ 신분제도를 유지하려는 노력
결론
5장 개혁과 왕조 교체
재정 개혁
과전법 │ 자원을 창출하고 통제하려는 국가의 시도
신분제도의 재정립
지방행정의 개편 │ 지배층의 감축
중앙 정치제도의 재편
정치 개혁: 첫 번째 국면, 1392~1400년 │ 정치 개혁: 두 번째 국면, 1400~1405년
결론
6장 개혁의 이념
사상의 복잡성
고려 전기부터 중기의 사장과 고문 │ 왕조 교체기의 고문과 정
출판사 서평
한국사의 통설, 조선왕조의 ‘신흥 사대부’ 건국론에 도전한다
획기적인 연구이며…… 조선왕조의 본질과 기원에 관련된 기존의 여러 통설을
뒤집는 독창적이고 원숙한 업적이다.
- 제임스 B. 팔레, 워싱턴대 교수
“이 책의 통계적 증거는 조선전기 지배층의 구성에 관련된 이전의 견해가 틀렸다는
의견을 제기한다. 던컨은 지금까지 가장 풍부한 증거를 모았다.
- 마르티나 도이힐러, 런던대 교수
한국사의 최대 전환기였던 1392년의 ‘고려-조선왕조 교체’, 그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일제 식민사학자들의 주장...
한국사의 통설, 조선왕조의 ‘신흥 사대부’ 건국론에 도전한다
획기적인 연구이며…… 조선왕조의 본질과 기원에 관련된 기존의 여러 통설을
뒤집는 독창적이고 원숙한 업적이다.
- 제임스 B. 팔레, 워싱턴대 교수
“이 책의 통계적 증거는 조선전기 지배층의 구성에 관련된 이전의 견해가 틀렸다는
의견을 제기한다. 던컨은 지금까지 가장 풍부한 증거를 모았다.
- 마르티나 도이힐러, 런던대 교수
한국사의 최대 전환기였던 1392년의 ‘고려-조선왕조 교체’, 그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일제 식민사학자들의 주장처럼 역사적 중요성이 전혀 없는 단순한 궁중반란인가? 아니면 신흥 사대부가 고려의 구세력을 축출하고 새 시대를 연 일대의 사회혁명인가? 조선왕조가 그 이전의 과거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는 사회였음을 제목에서 암시하는 이 책의 주장은 무엇일까?
1966년 미군으로 한국에 와 비무장지대 부근에서 근무한 뒤 고려대에서 한국사 공부를 시작한 이래 40여 년 동안 한국을 바라본 친한파이자, 1989년부터 UCLA 교수로 재직하며 지금까지 24명의 한국학 박사를 배출하며 현재 서구에서 한국 역사학을 이끄는 존 던컨 교수. 그는 이 책에서 조선왕조의 뿌리를 고려왕조에서 찾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는 조선의 건국을 단순한 왕조교체로 보지 않고 한국사회의 질적 변화로 인식해 온 통설을 뒤엎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