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말
떠든 아이를 아나요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다
역사에서 과거와 미래를 보다
자라나는 나, 품격 있는 사회
10년 뒤, 20년 뒤의 나에게 편지를 써 보세요
역사 개념 작은 사전
문자 기록만이 기록일까요? 선사시대와 역사시대의 경계는 무엇일까요?
저자는 기억과 기록의 정의와 상식에 대해 우선 문제제기한다. 인간은 기억을 연장하기 위해 기록한다. 일기, 메모, 사진, 동영상 촬영 등 매체는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과연 그 기록이 ‘있는 그대로’의 사실일까? 저자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그 남자의 얼굴에 수염이 있었던 것을 기억하십니까?” 라는 질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염이 있다고 답했으나, 실제 그 남자는 복면을 하고 있었다는 심리학자들의 실험 결과가 말하듯이, 질문이 기억 자체를 바꾸기도 한다. 개인에게 그러하듯이, 한 사회와 시대의 기록 역시 당시의 시대적 배경이나 상황에 따라 기록은 달라지게 마련이다. 역사가가 기록, 사료를 보며 긴장해야 하는 이유이다.
사진과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가 발전해서 기억이 완전해지고 완전히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인가? 저자는 그에 대해 회의적이다. 사진과 동영상 역시 ‘무엇을 기록할 것인가?’라는 생각이 없으면 별 의미 없이 남아 얼마 후 삭제될 뿐이다. 흔히 경험하듯이. 휴대전화에 번호를 저장한 뒤로 기억하는 전화번호가 몇 개 없어진 것은 기술에 의존하는 것이 기억과 기록의 안정성을 취약하게 한다는 명확한 증거이다. 또 멀티미디어는 어떤 경험과 그것을 기억하고 나누고자 하는 본질에 있어서는 이전 시대의 기록과 다르지 않다. 이 논의를 읽으면 우리가 이전 시대의 기록을 왜 더 깊이 살펴보아야 하는지 이해된다.
한편 문자 기록만 기록일까? 문자 기록이 없던 시대의 벽화나 암각화, 말로 전해지는 기록 등도 그것을 통해 그 시대의 삶과 소망을 담았고, 또 수천 년이 흘러도 그것을 우리가 읽어낼 수 있기 때문에 기록이라고 보아야 한다. 매체가 다르고 상황이 다를 뿐, 우리 시대가 그 시대보다 더 발전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주장이다.
역사시대와 선사시대 역시 희뿌연 경계일 뿐이라며 동아시아와 서양의 ‘역사 관념’이 어떻게 생기고 분화되었는지, 그 시대의 기록들은 어떠한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