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경합하는 ‘태평양’ 구상: 1949년 태평양‘동맹’의 재해석
I. 머리말
II. “파도치는 태평양”과 1947년 아시아 관계회의
III. 비동맹의 기원: 1949년 뉴델리 회의
IV. 연맹과 동맹 사이의 ‘태맹(太盟’
V. 맺음말: ‘태평양’의 유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한미일 관계의 위계성 구성
I. 서론
II. 위계성과 지위
III. 경험적 사례로서의 샌프란시스코 체제
IV. 결론
한반도 평화체제 만들기의 국제정치적 기원
―북한자료를 통해서 본 정전협정 4조 60항의 합의 과정―
I. 문제 설정
II. 정전협상과 외국군 철수의 의제화
III. 정전협정 4조 60항의 형성과 북한
IV. 정전협정 4조 60항의 평가
V. 정전협정 4조 60항의 현재성: 결론에 대신하여
1954년 제네바 정치회담과 한반도 국제관계: 전후 분단체제의 형성
I. 문제 제기
II. 제네바 정치회담의 성립 배경
III. 제네바 정치회담과 미중 적수게임
IV. 제네바 정치회담과 한미 동맹게임
V. 결론
1954년 한미 합의의사록의 재조명: ‘114일의 한미 분규’
I. 문제 제기
II. 배경: 휴전의 거래
III. 발단: 워싱턴 정상회담과 북진-군비증강
IV. 전개: 반일과 워싱턴 실무협상의 결렬
V. 파국: 환율-유류파동, 통일방안과 한미 ‘협의’
VI. 결론
북한의 상대적 자율성과 북중소 삼각관계
―8월 전원회의 사건의 전후 과정을 중심으로―
I. 문제 제기
II. 전후 북한 분파들의 정책 갈등과 “종파집단”의 부상
III. 반김일성 세력의 반격과 8월 전원회의
IV. 중소 개입과 김일성의 대응
V. 맺음말
한국 외교안보정책에 대한 탈식민주의 이론적 검토
―식민성의 역사적 형성과 변용에 관하여―
I. 서론
II. 탈식민주의 이론
III. 한국의 탈식민 역사 과정: 식민성의 생성과 변용
IV. 혼종 식민성 극복하기
V. 맺음말
찾아보기
지은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