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프롤로그
1부 스포츠와 신체문화: 소비에트 신인간형 창조과정의 긴장
1장 호모 소비에티쿠스
1. 교육 체제 개혁을 통한 호모소비에티쿠스 창출
2. 신체문화와 호모 소비에티쿠스: 이념의 계보와 이론적 논의
2장 1920년대의 신체문화와 스포츠
1. 신체문화 이념의 구체적 적용
2. 네프기 신체문화 이념과 스포츠의 공존
3장 이미지로 본 스탈린 체제의 신체문화와 스포츠
1. 스포츠에 대한 인식 변화
2. 스탈린 체제 스포츠 문화의 ‘개인’ 이미지
3. 스탈린 체제 신체문화의 이념을 유지하기 위한 ‘집단’ 이미지
4. 대립적 이미지의 완화 - 지도자 이미지
4장 스탈린 체제의 스포츠 관람문화
1. 스포츠 관람문화의 생산주체 - 국가권력과 스포츠 스타
2. 스포츠 관람문화의 소비주체 - 관중
3. 스포츠 관람문화의 공간 - 스타디움
2부 올림픽 ‘열전’의 실제: 소련의 올림픽 참가부터 개최까지
5장 소련의 1952년 하계 올림픽 참가
1. 소련의 국내 스포츠 제전
2. 소련의 올림픽 참가 - 내부의 선결과제
3. 소련 올림픽 참가를 반대하는 외부의 명분
6장 냉전기(1950~1975 올림픽에서 미국과 소련의 이미지 경쟁
1. 미국언론에 투영된 소련 선수의 이미지
2. 자국 선수들의 우호적 이미지 조성을 위한 소련의 대응
7장 올림픽 속에서의 ‘열전’ - 우승 아니면 죽음을!
1. 우승확보를 위한 선수 양성 체제
2. 우승 아니면 죽음을! - 금지약물의 복용
8장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1. 올림픽 유치전쟁의 1라운드
2. 올림픽 유치전쟁의 2라운드
3. 모스크바 올림픽 보이콧과 소련의 대응
에필로그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 이념 수호와 발전을 위한 러시아의 노력
소비에트 인간형-호모 소비에티쿠스 창출에서 신체문화의 보급으로!
러시아 혁명 직후 볼셰비키 권력은 전제정 시대의 관습과 가치를 버리고 새로운 이념을 체득한 인민의 창조가 필요했다. 볼셰비키 정권은 1920년대 교육을 통해 체제의 이념을 흡수한 ‘호모 소비에티쿠스’를 창출했고, 체제를 이끌어 갈 신엘리트층을 어느 정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인민의 절대다수가 ‘소비에트 인간형’으로 재탄생한 것은 아니었다.
러시아 정부는 한정적 효용가치를 초월하여 지속적으로 체제 내의 성원들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보다 포괄적인 지도원리가 필요했다. ‘신체문화(физическая культура’의 이념이 이러한 배경에서 출현했다. 신체문화는 용어의 일차적 어감이 연상시키는 체육이나 스포츠 등의 육체활동에만 한정할 수 없고 보다 포괄적인 삶의 지도 원리로서 제시되었다. 즉 그것은 위생, 스포츠를 통한 건강 증진, 국방 및 노동에 대한 관심, 여가, 교육, 그리고 전반적 문화계몽 등에 이르기까지 실로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이었다.
▶ 1920년대와 스탈린 시대의 불안한 동거
그 속의 신체문화와 스포츠
박원용 교수는 혁명 이후 러시아의 고등교육 체제 개편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혁명 이후 러시아 사회의 변화를 시각 이미지, 일상의 경험과 관련지어 논의한 다수의 논문을 쓰며 러시아 현대사를 연구해왔다. 이 책은 그의 첫 단독 저서로, 한국에는 소개되지 않은 러시아의 신체문화와 스포츠를 소개한다는 학술적 의의가 있다.
이 책은 크게 2부로 나누어진다. 1부 ‘스포츠와 신체문화: 소비에트 신인간형 창조과정의 긴장’에서는 스포츠 정책을 중심으로 소련 사회의 이념적 원칙과 현실 사이의 갈등을 다룬다. 스포츠는 경쟁을 바탕으로 승패를 확정하는 문화적 양태이다. 사회주의 체제 러시아는 체제의 수호를 위해 개인을 중시하는 스포츠의 경쟁문화보다는 집단적 가치와 이념을 습득하는 여가의 양식으로서 ‘신체문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