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_경계에서 탄생한 힙베를린
1. 경계가 만든 힙베를린, 힙한반도는?
유럽의 ‘뉴욕’을 거부한 공존과 저항의 도시
‘차이에 대한 인정’이 도시 정체성으로
2. ‘아수라장’ 됐던 동서독 정상회담
극단주의의 저급성, 동서독 정상회담 방해 현장
남북정상이 전몰자 위령비 앞에 함께 고개 숙인다면
● interview_마르쿠스 멕켈 (동독의 마지막 외무장관
3. 분단기에 동독으로 탈주한 코로나 감염자
팬데믹 시기 슈프레강을 건넌 숄츠의 탈 서독기
전염병, 보건의료 분야부터 교류의 물꼬를 튼 동서독
4. 아이들까지 동원한 서독정부의 삐라 살포
동베를린을 뒤흔든 삐라 한 장
서독이 압도한 동서독 간의 전단 전쟁
적을 닮아가다! ‘삐라 전쟁’의 딜레마
“이게 서독의 삐라라고?” 시민사회, 탈출구를 모색하다
‘삐라 전쟁’ 대신 쌍방향 소통을
2부_남북에 기회의 땅, 베를린
1. 첩보전쟁터에서 아이돌급 인기 북한대사
냉전을 넘어 교류·협력 주무대가 된 베를린
2. 북한 핸드볼 선수의 어떤 이별
한반도 교착상태 속 베를린엔 틈새길
통일 독일팀과 분단 한반도 단일팀의 맞대결
서독의 실용주의적 접근 잊은 독일의 아쉬운 역할
3. 김일성대 학생들 반갑지만 우리도 배려를…
좀 더 세심함이 필요한 남남갈등 관리
남북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어울리기
‘특별대우’ 이해하지만 남측에도 ‘작은 배려’를
4. “독일 통일은 싫든 좋든 왔습니다”
한국보다 더 통일에 무관심했던 서독
싫든 좋든 찾아온 통일
통일 준비는 민간교류 확대와 상호 이해로부터
● interview_안네 쾰러 (전 인프라테스트 설문조사 프로젝트 총책임자
5. 베를린 소녀상을 북한 대사가 찾았다면
베를린 소녀상 논란에 한국 정부 개입 없는 게 당연
민족주의 넘어 보편주의로, 소녀상 ‘베를린 모델’
다문화 사회 한국, 함께 어떻게 잘 살 수 있을까?
3부_한국이 몰랐던 서서갈등
1. “그러려면 동독에나 가”, “북한에 살아봐
이 책은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경계에서 탄생한 힙베를린’에서는 분단시기의 동서독 갈등이 가장 첨예하게 부딪혔던 공간인 베를린이 ‘차이에 대한 인정’을 통해 공존과 저항의 도시로 힙하게 변화해간 모습을 그렸다.
‘2부 남북에 기회의 땅, 베를린’에서는 남북한 사람들이 함께 만나는 공간인 베를린을 조명하며, 유일한 분단국인 한국이 만들어가야 할 통일의 모습과 방향을 제시한다. 민족주의를 넘어 보편주의에 입각한 민간 교류와 남북한 사람들의 모습, 더 나아가 우리 사회에 함께 살고 있으나 누구도 제대로 조명하고 있지 않은 다문화 사회 한국의 모습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3부 한국이 몰랐던 서서갈등’은 답보 상태를 반복하는 남북관계의 해결책을 제시한다. 또한 ‘통일’을 둘러싼 남한 내부의 남남갈등을 통일의 과정에서 불거진 ‘서독’ 내부의 서서갈등이 어떻게 진행되고 해결되어 가는지를 보며 고찰하고 있다. 좌우의 이념을 떠나 보편적 민주주의를 확장하기 위한 초당적 협력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4부 즐거운 갈등, 공존의 기술’에서는 나치 시대 전체주의, 식민주의의 굴레에서 독일이 어떻게 벗어나 유럽의 새로운 중심 국가로 떠오르게 되었는지를 소개한다. 소수의 의견도 끝까지 경청하는 시민사회의 ‘힙’함과 동서독 시민의 갈등, 난민 정책 갈등을 넘어 새로운 통합을 지향하는 베를린의 모습이야말로 가장 힙한 공간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힙 베를린, 갈등의 역설』에는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한명숙 전 국무총리, 김황식 전 국무총리, 박명림 연세대 교수의 추천사가 실려 있는 것도 남다르다. 명사들이 직접 보내온 글에는 통일에 대한 새로운 시각, 사회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남다른 통찰을 담은 책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현재 대한민국은 K-POP, K-무비, K-푸드, K-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힙’함을 드러내고 있다. 이제 그 다음은 ‘힙’한반도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때가 아닐까?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이 책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