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가 아는 것으로서 과학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
2. 과학의 이미지
3. 무엇이 과학자에게 동기 부여하는가?
4. 지적 호기심: 자연 속 수학적 패턴
5. 지적 호기심: 실험
6. 과학적 평판, 과학적 영향력, 대중적 명성
7. 과학의 효용
8. 과학과 돈
9. 과학자와 전체주의 국가
10. 과학자와 공공 정책
11. 인간에 적용된 과학
12. 과학과 가치
이 책은 과학의 내부적 성격과 외부적 성격을 균형 있게 논의한다. 그것이 이 책의 장점 중 하나다. 과학의 객관성과 더불어 과학의 가치중립성 문제를 다루며, 우리가 아는 과학이 어떻게 전개해 왔는지 과학의 개념에서 시작해 과학이 전문 직업화하고 산업화한 현재에 이르기까지를 개괄한다.
과학자가 되기를 꿈꾸는 과학도, 학생 등이 꼭 읽어봐야 할 책!
과학은 과거에 무엇이었고, 현재 무엇이며, 미래에 무엇이 될 수 있을까
저자는 이 책이 과학적 기획의 본성과 함의를 밝혀줄 뿐만 아니라, 과학이 과거에 무엇이었고 현재 무엇이며, 미래에 무엇이 될 수 있을지에 관한 ‘몇몇 이해’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한다.
갈수록 밀접한 유대를 형성하는 오늘날의 과학과 기술, 정부와 대기업에 의해 자금 지원을 받는 대형 연구 집단 속 현행 과학이 고전적 과학과 어떻게 다른지도 강조했다.
“위인” 이미지는 고전적 과학과 꽤 잘 부합하지만, 최근의 과학은 구조와 기능 면에서 더 복잡하며, 과학 안에서 몇몇 선도자를 뽑아내거나 사회와의 내밀한 관계 속에서 과학 연구의 다양한 동기 부여를 평가하기가 오늘날 더 어렵다고도 말한다.
1~3장에서는 과학의 전개와 사회 속 과학의 역할에 대한 역사적 관점을 제공한다.
4~11장에서는 과학사 속의 매혹적이며 교육적인 다양한 에피소드를 다룬다.
예를 들면 과학자들의 전기, 최근 과학 저널리즘에서 과학 연구와 관련된 다양한 동기 및 영향, 과학적 발견, 과학의 응용으로 제기된 문제와 딜레마에 관한 생생한 사례를 선별해 보여준다.
12장에서는 과학 연구 속 정치적, 경제적, 윤리적 관심사의 상호작용을 반영하면서 과학과 가치의 관계에 대한 보다 철학적인 토론으로 책의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 책 전반에 걸쳐 저자는 독자, 특히 미래에 과학자·기술자·행정가 사이에 있게 될 과학도로 하여금 과학의 실천에서 생겨나는 여러 중대한 쟁점에 대해 스스로 신중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도록 자극한다.
과학의 이미지가 제공하는 깊은 철학적 쟁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