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신문 읽기의 혁명 2』인가
“편집을 읽어야 기사가 보인다.” 1997년에 초판을 발행한 『신문 읽기의 혁명』 첫째권의 주장을 간추린 한 마디다. 풀어쓰자면 신문지면이 단순한 ‘평면’이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입체’이며, 그리하여 독자들은 신문을 구성하는 삼자(신문사, 신문, 독자의 관계를 정확히 분별할 줄 아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는 말이다. 출간 이래 10년이 넘도록 이 책이 독자들의 사랑을 꾸준히 받았던 이유는 바로 이러한 입체적 신문 읽기가 당대 언론개혁의 국면에서 독자들의 시야를 넓히는 데에 도움을 주었기 때문일 것이다.
첫째권의 출간 이후 10여 년간 한국 사회와 언론은 참 많이 바뀌었다. 10여 년간의 언론의 역사를 키워드로만 꼽아보아도, 안티조선 ? 조중동 ? 언론개혁운동 ? 무가지 신문 ? 인터넷신문 ? 블로거 ? 미디어법 등 굵직한 말들이 이어진다. 이제 그 변화상을 차분히 해설해줄 책이 나올 때도 되지 않았을까. 이 책은 바로 그에 대한 손석춘의 답변이다.
경제면 넘어 경제 읽기
우리 사회의 지난 10여 년을 해설해줄 키워드가 ‘IMF’‘경제’였으니, 저자가 고른 신문 읽기의 첫 번째 키워드가 ‘경제’인 것은 또한 자연스럽다. 물론 독자들은 기존의 신문 관련 서적들을 통해 경제기사를 분석하는 방식을 배워왔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단순히 경제기사를 정확히 읽는 법을 당부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는다. 저자는 신문지면에서 경제기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되짚어보며, 이를 통해 현재 다수의 독자들이 ‘왜’ 정치-사회면을 나누어보게 되었는지, 경제면 아래 숨은 저류인 광고면의 진가를 ‘왜’ 또렷하게 인식하지 못했는지 등을 풍부한 사례를 들어 해설한다. 다시 말해, 이 책은 경제기사를 구성하는 또 하나의 주체인 독자 즉 ‘민중’이 스스로 경제면과 정치면을 이어서 읽는 법과 광고지면의 속뜻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