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부 본성
1장 우리는 누구인가
청중의 반응에 반응하는 뇌 | 우리 뇌 안의 사회적 연결망 | 더 현명하고 생산적인 우리를 위하여
2장 뇌의 관심사
뇌의 기본 신경망 | 기본 신경망과 사회인지 | 우리가 사회적 세계에 관심을 가지는 까닭 | 인간의 사회성은 우연의 산물이 아니다 | 뇌의 크기 | 인간의 뇌가 큰 이유 | 사회적 뇌 가설 | 집단생활의 혜택
2부 연결
3장 마음의 고통과 몸의 고통
출생 후 발달하는 뇌 | 매슬로의 욕구 위계 뒤집기 | 실제 고통 | 사회적 고통과 실제 고통 | 분리고통과 울음소리 | 고통과 전대상피질 | 애착과 전대상피질 | 사이버볼 게임 | 배측 전대상피질이 실제로 하는 일 | 인간의 경보체계, 배측 전대상피질 | 아스피린 두 알의 효과 | 돌멩이와 따돌림이 주는 통증
4장 공정함과 사회적 보상
공정함은 초콜릿처럼 달콤하다 | 긍정적인 사회적 신호에 반응하는 뇌 | 보상의 다양성 | 협력 | 사익 추구의 공리 | 이타주의를 둘러싼 논쟁 | 사회적 보상의 힘 | 왜 우리는 이기적인 척할까? | 고통과 쾌감의 수명
3부 마음 읽기
5장 심리화 체계
일상적인 마음 읽기 | 누가, 언제 마음이론을 갖게 되는가 | 일반지능을 위한 신경망 | 사회적 지능을 위한 신경망 | 기본 값으로 작용하는 심리화 작업 | 사회적 사고는 사회적 삶을 위한 것이다 | 정보의 디스크자키 | 심리화 작업이 언제나 완벽한 것은 아니다 | 심리화 작업의 기적
6장 거울체계
원숭이가 보는 것과 하는 것 | 모방 | 마음을 읽는 거울 | 거울의 균열 | 거울체계와 심리화 체계 | 무엇을 어떻게 왜 | 사회적 세계는 어떻게 가능한가?
7장 사회적 마음의 작동 여부
타인의 고통 느끼기 | 인간 본성의 선한 측면들 | 중격부의 역할 | 사회적 외계인 | 자폐증과 마음이론의 결핍 | 숨은 도형 찾기 | 원인인가 결과인가? | 깨진 거울 가설 | 강력한 세계 가설 | 사회인지
4부 조화
8장 트로이의 목마를 닮은 ‘자기
출판사 서평
인간은 어떻게 타인의 마음을 ‘읽을’ 수 있을까?
뇌는 끊임없이 관계를 맺고 유지하려 한다
사회적 뇌는 인류의 진화적 선택이다!
우리는 흔히 인간이 ‘생각할 줄 아는 동물’이라고 말한다. 다른 동물과 인간을 구별 짓는 이 생각할 줄 아는 능력 덕분에, 우리 인간이 언어와 문화 등을 발전시켜 오늘날의 위치에 있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보자. 만약 인간이 ‘혼자’ 생각하고 ‘혼자’ 살아왔다면 과연 오늘날과 같은 문명의 업적을 이룰 수 있었을까?
인간은 근본적으로 사회적인 동물이다. 이 책 《사회적 뇌,...
인간은 어떻게 타인의 마음을 ‘읽을’ 수 있을까?
뇌는 끊임없이 관계를 맺고 유지하려 한다
사회적 뇌는 인류의 진화적 선택이다!
우리는 흔히 인간이 ‘생각할 줄 아는 동물’이라고 말한다. 다른 동물과 인간을 구별 짓는 이 생각할 줄 아는 능력 덕분에, 우리 인간이 언어와 문화 등을 발전시켜 오늘날의 위치에 있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보자. 만약 인간이 ‘혼자’ 생각하고 ‘혼자’ 살아왔다면 과연 오늘날과 같은 문명의 업적을 이룰 수 있었을까?
인간은 근본적으로 사회적인 동물이다. 이 책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원제: Social의 저자 매튜 D. 리버먼은 우리 인간의 뇌는 생각을 위해서만 설계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연결’을 위해서도 설계되었다고 주장한다. 다른 사람들과 접촉하고 연결되고자 하는 욕구는 삶의 모든 측면에서 우리의 행동을 좌우하는 가장 기본적인 힘들 가운데 하나라는 것이다.
매튜 D. 리버먼은 사회신경과학social neuroscience 분야에서 지난 10여 년간 연구해온 결과를 이 책에 담았다. 저자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같은 기술의 등장으로 인간의 뇌가 사회적 세계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과거에는 미처 알지 못했던 사실들을 알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 결과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다시 말해 인간의 뇌가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