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 제17권에는 16. 범행품(梵行品 · 17. 초발심공덕품(初發心功德品이 수록되었다.
16.「범행품(梵行品」은 정념천자가 법혜보살에게 청정범행의 실상을 물어 밝히는 품이다. 범행의 범(梵은 더러움이 없다는 말로 정(淨, 즉 정행(淨行을 말한다. 청정한 수행으로 중생에게 이익을 주게 한다는 것이다. 처음 발심한 사람이 “어떻게 수행해야 부처님처럼 될 것인가?”라고 물을 때 청정하고 올바른 수행을 하면 누구나 부처가 된다고 확신을 주는 내용으로 이뤄져 있다.
17. 초발심공덕품(初發心功德品은 발심한 보살의 능력과 공덕이 어느 정도인지를 밝히고 있는 품이다. 제석천왕이 법혜보살에게 묻는다. “불자여, 보살이 처음으로 보리심을 내면 얻는 공덕이 얼마나 됩니까?” 이에 법혜보살이 대답하기를 초발심에 대한 공덕은 그 뜻이 너무 깊어서 말하기 어렵고, 알기 어렵고, 분별하기 어렵고, 믿고 이해하기 어렵고, 증득하기 어렵다고 한다. 그만큼 초발심의 공덕은 한량없다는 것을 밝히고 있는 품이다.
해주 스님의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은 말 그대로 독송 수행을 위한 책이다. 스스로 보고 읽으며 수행하는 힘을 기르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화엄경』의 요의를 깨달아 가는 수행서다. 교단에 머물며 화엄학 연구와 수행에 매진해 온 해주 스님이 퇴임 후에도 『화엄경』 독송을 통해 수행하며 스스로를 점검하는 한편 불자들의 화엄 신행 여정을 함께하고자 하는 발원과 정성을 불사에 담았다.
독송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역을 함께 수록했다. 본문의 왼쪽 면에는 한문 원문을, 오른쪽 면에는 그에 따른 한글 번역을 실었다.
한문 원문의 저본은 고려대장경의 조선시대 인경본이다. 고려대장경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 후대에 교감(校勘된 대장경과 이를 연구한 논 · 소초가 많아 수차례 교감하여 원문에 반영하였다.
서로 다른 내용을 원문에 반영하는 범위와 이체자(異體字 문제는 고려대장경 각권의 말미에 교감되어 있는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경문의 전후 내용을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