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대담 마늘을 판 변호사, 시민 지킴이
1장
이명박의 회고록과 경제법치
국가 엘리트들이 최순실에 저항하지 않은 이유
법치가 서야 경제도 산다
광복 70주년, 동북아 모범국가 한국을 구상한다
한국, 중국에 법치주의 모델 국가 돼야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법치주의
누가 ‘숙련경제‘의 싹을 짓밟았나
2장
우리 농산물 학교급식을 위한 통상법
철도 민영화 방지 해법 있다
쌀 수입허가제 폐지 대책을 질의한다
가수 김장훈은 왜 고발당했나
론스타 5조 원 청구서는 실체가 없다
국제 중재 회부제 폐지해야
서울시 청년수당 무력화하려는 황교안 총리에게
산업부 장관, 대법 ‘FTA 판결’에 맞설 텐가
홍준표의 셰일가스 FTA 전략? 트럼프가 웃는다
3장
가장 중요한 한중 FTA 대책은 무엇인가?
한중 FTA 협정문, 서명 전에 공개해야
FTA 10년의 교훈과 한중 FTA
日 수산물 방사능 오염 보고서, 왜 숨기나?
법치주의의 퇴보를 우려한다
남북 특수 관계, 국제 규범으로 만들어야
日 수산물 방사능 검역 분쟁, 포기할 셈인가?
중국은 한중 FTA를 변칙처리해서는 안 된다
‘위안부’ 할머니의 권리는 확약 대상이 아니다
‘국가 범죄 부인’ 아베 발언은 국제법 위반
소녀상을 지키는 청년들
일본에 검역주권조차 양보할 것인가?
비밀파병 협정이 국익인가?
4장
분단 70년과 평양 대표부 설치
남북 동시 사형제 폐지, 통일로 가는 한 걸음
개성공단 전면 중단은 법치주의 위반
개성공단 불법 중단과 재산 동결, 희망 없나?
남북, ‘개성‘에서 다시 만나야
개성공단 한국 기업은 정부를 믿고 싶다
북 소비재 시장을 주목하자
박 대통령은 개성공단 폐쇄 목적 달성했나
대법원도 인정한 개성공단 가치
목을 쳐야 하는 대한민국은 없다
북한 휴대전화 사용자 324만 명
가습기 살균제 참사, 국가가 사과해야
김앤장과 규제개혁위원회
더불어 사는 경제를 위하여
“우리 경제는 더 성숙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소수가 특혜를 받아 성장하고, 이익을 독점하면 안 된다. 사람을 존중해야 한다. 경제는 인권의 예외가 아니다. 인권의 반대말이 아니다”고 외친다. 사람이 존중받는 경제라야 보통사람들은 사회를 신뢰할 수 있고, 혁신할 여유를 가질 수 있으며, 숙련된 경제를 할 수 있다고 보는 저자는, 그래서 ‘밥과 법’을 강조한다. 경제에서 사람을 대우하는 방법이 바로 법이기 때문이다.
그가 내세우는 법치경제, 인권경제, 숙련경제는 ‘경제민주화’를 더욱 구체화하기 위한 개념들로서, 법률 전문가로서의 풍부한 경험과 정치인으로서의 의지와 전망을 담고 있다.
그런데 한국의 법이 밥을 위해 쓰임새가 커지려면 매우 중요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바로 ‘북한’과 ‘국제 질서’ 문제라는 난제다. 저자가 보기에 이것을 해결하지 않으면 안정된 밥은 없다. 그 해결책은 한국의 법치를 북한과 국제 사회가 진지하게 인정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리고 이를 ‘동북아 모델 국가론’으로 제시한다.
한국을 둘러싼 나라들은 과거에 세계사에서 제국이었거나 현재 강대국들이다. 군사력에 의지해서는 이들 나라들을 압도하기 어렵다. 한국의 전략은 강한 나라가 아니라 모델 국가이다. 민주와 법치의 모델 국가가 되는 길이 평화의 길이며, 정의의 길이다. 이 책은 이러한 저자의 뜻을 담고 있다.
인간 송기호, 삶의 여정과 꿈
이러한 저자의 희망과 실천의 언어들이 결코 탁상공론이 아니라는 것을, 책의 서두에 실린 ‘대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고향과 부모님에 대한 추억, 그리고 대학 졸업 후 뛰어든 농민운동의 경험, 가난한 농민들의 편에 서서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농업법’과 ‘통상’ 전문 변호사가 된 이야기, 농민들과 함께 국가를 상대로 한 소송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직접 마늘을 판 에피소드 등을 통해, 저자가 수많은 칼럼을 통해 제기해 온 공적 담론들이 치열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