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판 서문
1. 서론: 사회과학의 철학
2. 과학에서 경험주의와 실증주의
3. 경험주의와 실증주의의 몇 가지 문제
4. 과학, 자연, 사회: 경험주의에 대한 몇 가지 대안들
5. 해석적 접근 1: 도구적 합리성
6. 해석적 접근 2: 규칙 준수로서 합리성-문화와 전통과 해석학
7. 해석적 접근 3: 비판적 합리성
8. 비판적 실재론과 사회과학
9. 여성주의, 지식, 사회
10. 탈구조주의와 탈근대주의
11. 결론: 철학을 옹호하며
12. 근래의 발전에 대한 논평
보론 1: 개인적 결론
보론 2: 이언 크레이브 교수(1945~2002 추모사
사회과학이란 무엇인가?
자연과학이 무엇인지 규정하려는 시도들을 살펴본 후에, 이 책은 사회과학이 무엇인지 규정하려고한 시도들을 고찰한다. 소위 해석학적 접근이라 부르는 시도들에서는, 사회과학이 자연과학과는 다른 대상들을 다루기 때문에 같은 의미에서 과학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쿼크나 산소와는 다르다. 인간은 탐구의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고, 스스로의 의지를 가지고 사회를 변혁하려 시도할 수 있다. 이렇게 사회학 탐구의 대상, 즉 주체와 차이를 강조하는 입장에서 사회과학은 단순한 탐구활동 이상이 된다. 사회가 어떤 목표를 가지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제시하는 역할을 사회과학이 맡아야 하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가다머, 프랑크푸르트 학파, 하버마스 등의 이론을 살펴보고 그들의 이론이 지닌 사회과학적 함의들을 고찰한다.
비판적 실재론, 여성주의, 탈구조주의……사회과학과 철학의 새로운 흐름들
위에서 살펴본 기존 이론들과는 또 다른 관점에서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규정하려고 시도한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비판적 실재론과 여성주의, 탈구조주의와 같은 흐름들이 그것이다. 기존 이론들이 과학과 사회과학이 객관적인지 주관적인지, 실증적인지 그렇지 않은지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새로운 흐름들은 새로운 관점에서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평가한다.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은 어떤 관계인가? 여성이 과학 활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면 과학의 특성도 변하지 않을까? 인간의 합리성에 바탕을 둔 활동들은 계속될 수 있을까? 이와 같은 질문들은 사회과학과 철학을 새롭게 규정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탐구해나갈 것을 촉구한다.
우리 모두는 암묵적으로 철학자이다
그람시는 “누구나 철학자이다”라고 말했다. 이 말의 의미는, 우리가 명백하게 인식하고 있지는 못하더라도 우리 모두가 암묵적으로는 나름의 관점과 지향을 가지고 세계를 바라본다는 뜻이다. 이건 사회과학자들도 마찬가지다. 각각의 사회과학자들은 나름의 지향과 관점을 가지고 탐구 활동을 수행한다. 그 과정에서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