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1
제1부 초석(楚石
제1장 미국, 중국의 지정학적 특성 11
1. 지정학이란? 12
가. 맥킨더(Halford Mackinder, 1861-1947 13
나. 스파이크맨(Nicholas Spykman, 1893-1943 14
다. 마한(Alfred T. Mahan, 1840-1914 17
라. 콜벳(Julian S. Corbett, 1854~1922 18
2. 미국의 지정학적 특성 20
가. 북미(北美로의 대양(大洋 접근로 통제 21
나. 전(全 세계 대양의 통제 24
다. 잠재적 도전국의 부상(浮上 예방 26
3. 중국의 지정학적 특성 29
가. 3개의 핵심요소 30
나. 또 하나의 필수소요: 해상교역로의 보호 31
다. 새로운 지정학적 게임: 유라시아 통합 가능성 32
제2장 미?중 적대관계의 기원 36
1. 중국의 대미(對美 정책 기원 37
가. 치욕의 세기 37
나.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47
2. 미국 대중(對中 정책의 기원 54
가. 건국 시 고립주의 신조 55
나. ‘치욕의 세기’와 미국 56
다. 중국의 재조(再造를 위한 미국의 노력 58
제3장 UN 해양법 협약과 미?중 관계 63
1. 1982년 UN 해양법협약 64
가. UNCLOS 관련 미?중의 상반된 입장 64
나. 해양구역 관련 미?중간 이견 67
2. UN 해양법과 미?중간 패권경쟁 72
가. EEZ에서의 외국의 군사활동 72
나. 남중국해 75
제2부 미?중 개입정책
제4장 태평양전쟁 종전 후 대립(對立의 시작 83
1. 미국의 세기 시작 83
가. 미국의 전통적인 아?태지역 군사전략 84
나.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 86
다. 전 세계 해양통제 87
2. 냉전의 출현 90
가. 미?소 냉전의 부상 90
나. 중국의 공산화 92
다. 한국전쟁: 극동으로 확장되는 미?소 냉전 98
라. 미?중 대립: 제1, 2차 대만해협 위기 106
3. 중?소 분쟁 109
가. 중?소 갈등요인
책머리에
이 책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에서 2년 동안 석사?박사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미?중 해양 패권경쟁’이라는 과목의 강의내용을 1권의 책으로 정리한 것이다. 강의를 하면서 학생들이 국가안보, 특히 미?중 패권경쟁과 한반도 주변을 둘러싼 해양안보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을 깨닫고 우리의 희망인 젊은이들과 또 국가안보에 관심을 가진 국민들과 함께 저자의 지식과 해군장교로서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하는 소망에서 이 책을 쓰게 되었다.
이 책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중국이 오랜 내전 끝에 공산국가로 출범하면서 미?중 양국관계가 개입정책(engagement policy을 통해 세력전이, 그리고 패권경쟁으로 발전하는 과정과 그 속에서 양국의 해군력이 수행한 역할을 다룬 내용이다. 이를 위한 분석의 틀로 양국의 지정학(地政學적 특성, 대립관계의 기원, UN 해양법 협약, 그리고 국제정치 이론 등을 참고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미?중간의 패권경쟁을 동맹국 미국의 관점뿐만 아니라 좀더 객관적인 입장에서 이해함으로써 우리가 처한 안보상황을 보다 냉정하고 현실적으로 인식하고 무역국가 한국이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해 지향하고 나아갈 방향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집필을 하는 동안 그동안 모르고 지냈던 많은 사실과 지식을 접하고 다시 연구를 한 후 보완하는 작업이 수없이 반복되었다. 특히 과거 ‘치욕의 세기’와 오랜 내전을 거쳐 가난하고 분열된 공산국가로 출범했던 중국이 오늘날 초강대국 반열에 오르며 ‘중화민족의 부흥’이라는 대전략을 추진하며 미국의 패권질서에 도전하는 모습, 그리고 유명무실한 상태에서 출범한 중국해군이 중국몽(中國夢의 구현 주체로서 우뚝 서기까지 그 전략적 토대를 놓은 류화칭(劉華淸의 해양전략과 중국해군의 성장과정 등 … 국가들이 안보와 국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무한경쟁을 펼치는 무정부상태의 국제무대에서 중국이라는 하나의 후발적(後發的 국가주체가 이룩한 엄청난 성과라고 평가하지 않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