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디지털 시대에서의 시민성
1. 시민과 시민성의 개념
2. 디지털 시대에서 시민성 개념의 변화
2장?디지털 시민성의 개념과 중요성
1. 디지털 시민성의 개념 정의
2. 디지털 시민성의 중요성
3장?디지털 시민성을 위한 교육
1. 비전을 세우기
2. 포괄적 접근법을 채택하기
3. 민주적이고 안전한 학교 문화를 만들기
4. 기본 원칙에 충실하기
5. STAR 기법을 활용하기
4장?기술 훈련(Skills training
1. 비판적 사고
Skill-training?디지털 시민성과 비판적 사고
2. 도덕적 창의성
Skill-training?디지털 시민성과 도덕적 창의성
3. 사이버 의사소통 능력
Skill-training?디지털 시민성과 사이버 의사소통 능력
5장?사고 능력(Thinking ability
1. 우선순위 정하기
Thinking ability?건강한 미디어 생활
2. 토론하기
Thinking Ability?온라인에서 가짜 계정 사용하기의 장단점
3. 뉴스 리터러시 교육
Thinking ability?온라인 뉴스 읽기
4. 건설적 논쟁
Thinking Ability?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는 건강한 삶에 좋은가?
6장?인식(Awareness
1. 온라인 참여
Awareness?참여하는 디지털 시민 되기
2. 윤리를 가르치기
Awareness?디지털 윤리 가르치기
3. 향상 프로젝트
Awareness?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향상 프로젝트
7장?역할 모델링(Role-modeling
1. 관찰 학습(observational learning
Role-modeling?디지털 시민성과 관찰학습
2. 고양(elevation
Role-modeling?디지털 시민성과 고양
3. 모범 감화
Role-modeling?디지털 시민성과 모범 감화
4. 도덕적 전문성
Role-modeling?디지털 시민성과 도덕적 전문성
찾아보기??
책속에서
머리말
이 책은 춘천교육대학교 시민교육 사업단의 올해년도 연구 과제를 수행한 결과를 담은 것이다. 춘천교육대학교 시민교육 사업단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예산 지원을 받아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 동안 예비 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는 중이다. 춘천교육대학교 시민교육 사업단은 ... 더보기
우리가 가급적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여 실제 문제 상황에 비판적 사고의 원리를 적용하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때(김명숙, 2002: 128, 비판적 사고의 전이(轉移를 높일 수 있고 비로소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Nickerson, 1987; 김명숙, 2002: 127에서 재인용. 이러한 관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영역에서 다루는 비판적 사고 교육이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미디어 메시지에 기초하기 때문에 실제 경험이나 지식과의 연관성 속에서 다룰 수 있다(황치성, 2017: 7는 주장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비판적 사고 교육은 학생들의 실생활 맥락을 소재로 삼아 비판적 사고를 해 보도록 연습시킬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의 영역 간 전이가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체 국민의 91.5%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만 3세 이상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은 90.4%에 이르는 상황에서(한국인터넷진흥원, 2019: 25, 52, 언제 어디에서나 정보통신기기로 여가활동, 정보획득 활동, 소비ㆍ금융 활동,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즐기는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를 발휘하여 온라인 정보를 선별할 수 있도록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은 진정으로 학생의 삶과 앎을 연계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수업이자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센터(Center for Media Literacy, 이하 CML에서 개발한 수업 가이드북에 의하면, 학생들에게 미디어 메시지를 분석하도록 하는 활동은 다음과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