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면서 5
I. 불교로 이해하는 생명과학
1. 생명현상과 붓다의 가르침 23
진화의 산물인 생명체 23 | 상호의존적 생명체 24 | 무상한 생명체 25 | 본질 없이 공空한 생명체 27 | 공空한 생명체의 의미 29
2. 불교로 이해하는 생명과학 34
연기 34 | 무상 38 | 공 40 | 공한 생명체 43
3. 깨달음과 자비, 그리고 생명현상 45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45 | 불자들의 행위의 기준 49 | 생명현상과 자비행 52
II. 생명과학과 깨달음
4. 깨달음, 세계관의 혁명적 변화 61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 62 | 현응스님의 돈오 66 | 생명과학혁명 69
5. 깨달음과 생명과학 방법론: 환원론에 대한 오해 1 73
환원이란 무엇인가 74 | 환원론에 대한 오해 76 | 미시구조적 환원 81
6. 깨달음과 생명과학 방법론: 환원론에 대한 오해 2 85
환원론에 대한 또 다른 오해 85
III. 개체
7. 발생의 불교적 이해 1 99
발생과 연기 99 | 발생과 생명 105
8. 발생의 불교적 이해 2 113
본질 없이 공空한 배아줄기세포 113
9. 노화의 불교적 이해 123
노화에 대한 오해 123 | 노화는 없다 125 | 노화도 공空 133
10. 병듦의 불교적 이해 136
병이란 무엇인가 137 | 병의 불교적 해석과 극복 142
11. 죽음의 불교적 이해 1 149
죽음이란 무엇인가 149 | 논리적 개념으로서의 ‘죽음’ 151 | 세포의 죽음(cell-death or apoptosis 154 | 죽음과 윤회 161
12. 죽음의 불교적 이해 2 162
죽음과 나 162 | 생명체들이 죽어야 하는 이유 163 | 태어나지 않았으니 죽지도 않는다 167 | 죽음에 대한 불교적 낙관주의 169
IV. 종種(Species
13. 종種의 불교적 이해 1 177
종과 본질주의 178 | 다윈의 종과 미완의 반反본질주의 180 | 종 개념의 문제 183
14. 종種의 불교적
이 책의 논의는 크게 여섯 주제로 나누어져 있다.
첫 주제인 ‘I. 불교로 이해하는 생명과학’에서는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연기, 무상, 공, 깨달음, 그리고 자비의 가르침을 설명하면서 이 가르침들이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논의하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연기법과 그로부터 도출된 불교의 가르침이 존재 세계를 관통하는 진리이기 때문에 당연히 그 일부인 생명현상도 꿰뚫는 가르침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주제인 ‘II. 생명과학과 깨달음’에서는 과학이론의 교체가 마치 정치체제의 근본적 교체와 같이 혁명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설명하면서, 생명과학의 혁명적 발전을 위해서는 기존의 서구적인 본질주의적 실재론의 관점에서 벗어나 연기와 공의 관점을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셋째 주제인 ‘III. 개체’에서는 생로병사의 실존적 문제를 생명과학 안에서 구체적인 예를 통해 논의한다. 생로병사라는 현상을 생명과학적으로 고찰하다 보면 결국 연기와 공의 관점에서 파악되어야 한다는 점을 깨닫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에서 관조해 보면, 생로병사가 실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자연계의 변화 과정이라는 점이 드러난다. 그래서 불교적 생명과학이 주는 통찰로도 우리가 생사生死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넷째 주제는 ‘IV. 종種’이다. 여기서는 다윈의 진화론을 소개하면서 생명 세계에 존재한다고 믿어져 온 고유한 본질을 가졌다는 종의 존재에 대해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다윈 스스로도 종에 대한 본질주의를 철저히 배격하지는 못했다. 그래서 지금까지 생명과학자들이 보고해 온 종 본질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종과 관련한 생명현상도 연기와 공의 관점에서 관찰하고 이해해야만 이런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섯째 주제인 ‘V. 유전자’에서는 유전자 개념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진행한다. 먼저 유전자의 개념이 역사상 어떻게 변천해 왔는가를 살펴보고, 분자생명과학이 전제하는 DNA 분자로서의 유전자 개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