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 사찰과 스님의 은밀한 생활 엿보기
1. 스님이란 누구인가?
스님이라는 호칭의 유래
스님을 부르는 다른 이름
스님의 소임
2. 스님의 의식주
붓다와 의복
붓다와 음식
붓다와 주거
3. 출?가에서 입적까지
출가
행자의 하루
수계와 득도
사미와 사미니
기본 교육 과정과 식차마나니
구족계 및 보살계
사분율과 청규
법계 제도
전문 교육 과정과 율원
선원
법사와 건당
주지와 이판사판
대중공사와 의결 제도
입적과 다비
사리와 추모재
4. 산사의 하루
도량석
종송
불전사물
새벽 예불
『예불문』과 『반야심경』
아침 공양과 운력
사시 기도와 마지
기도와 사분정근
저녁 예불
철야 기도와 납팔죽
취침
사찰의 주요 행사
사십구재와 천도재
5. 한국불교의 종파와 종단 그리고 차이
한국불교의 종파와 종단
조계종과 여타 종단
출판사 서평
2,600년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때론 오해와 실수가 만들어낸 스님들의 수행과 일상 이야기
왜 스님에게만 존칭을 쓰냐고?
목사, 신부 등 근래 우리나라에 들어온 단어에는 ‘님’자를 붙이지 않지만 유독 스님에게만 존칭인 ‘님’자가 붙는다. 이 ‘님’자가 부당하다고 생각했는지 일부 언론에서는 굳이 ‘○○ 승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애초 스님이란 용어는 고대 인도의 언어인 산스크리트 상가sa?gha에서 온 말이다. 그런데 이 단어는 중국으로 바로 넘어오지 않고 중앙아시아라는 필터를 거치게 된다. 그 과정에서 발음은 ‘상...
2,600년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때론 오해와 실수가 만들어낸 스님들의 수행과 일상 이야기
왜 스님에게만 존칭을 쓰냐고?
목사, 신부 등 근래 우리나라에 들어온 단어에는 ‘님’자를 붙이지 않지만 유독 스님에게만 존칭인 ‘님’자가 붙는다. 이 ‘님’자가 부당하다고 생각했는지 일부 언론에서는 굳이 ‘○○ 승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애초 스님이란 용어는 고대 인도의 언어인 산스크리트 상가sa?gha에서 온 말이다. 그런데 이 단어는 중국으로 바로 넘어오지 않고 중앙아시아라는 필터를 거치게 된다. 그 과정에서 발음은 ‘상그’ 또는 ‘상크’로 변했고 중국은 이를 ‘승가’와 ‘승’으로 음역해 동시에 사용했다.
이 단어가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스님’으로 정착하게 된 계기와 관련해서는 몇 가지 유래와 설이 있다. 가장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설은 중을 나타내는 ‘승僧’에 ‘님’이 붙어 스님으로 축약됐다는 것이다. 삼국이나 고려 시대 승려는 선진문화의 전달자였다. 중국 유학을 마친 스님들도 많았다. 이들에게 존칭인 ‘님’자가 붙는 건 당시로서는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다른 하나는 스승과 스님의 공통 기원설이다. 실제 조선 세조 대에 편찬된 『월인석보』에 등장하는 ‘스승’이라는 단어는 ‘법을 가르치는 이’라는 의미가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조선 중종 대에 나온 한자 학습서 『훈몽자회』에서는 아예 스님을 ‘스승’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