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이것은 과학기술학 책이다.
철새와 철새를 세는 사람들과 연루되다_성한아
200마리 곤충 표본
과학기술학의 미답지, 현장 생물학
철새를 세는 과학 현장에 접속하기
탐조, 새와 인간의 합작품
조사원의 전문성이 빛나는 현장
개체수 빠르게 세기
빠르고 정확한 조사에 가려진 시간
경락을 연구하는 실험실에 연루되다_김연화
과학에 연루되다
한의학물리연구실에 연루되다
김봉한을 만나다
봉한관을 찾다
실험에 연루되다
봉한관이 있다고 생각해?
프리모관으로 변화
현장을 나오다
자폐증과 자폐증을 공부하는 엄마들에 연루되다_장하원
연구 주제를 찾기까지: 엄마×연구자
자폐증을 알아 가기: 자폐 과학의 자폐증
자폐증을 문제 삼기: 나의 현장을 찾아서
엄마들을 만나다: 27개의 자폐증 이야기
의사들의 자폐증과 엄마들의 자폐증
‘다른’ 아이 돌보기: 자폐증을 공부하는 엄마들
과학기술학을 통해서 질병을 (돌본다는 것
성형외과에 연루되다_임소연
나는 어쩌다 성형외과 현장에 있게 되었나
S 성형외과의 임 코디가 되다
성형외과에서 과학을 목격하다
상담, 보는 것만으로도 알게 되는 과학
수술, 보는 것만으로는 알 수 없는 실험
성형 수술을 과학기술로 본다는 것
나가며: 과학기술학에 대하여, 글로 못다 한 이야기들
독자 리뷰
연루된 연구자들
연구자 경력을 시작하는 초심자가, 설령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입학했다고 해도 제도로 정해진 기간의 반 이상을 인류학자처럼 민족지를 작성하기 위해 현지로 들어가겠다는 결심을 내리기란 쉽지 않다. 무난히 박사학위를 받고 조금은 유리한 고지에 설 수 있는 경로도 있었을 터인데 선뜻 도전하지 않는 현장연구를 자원한 그들. 책의 <들어가며>를 쓴 임소연은 본인과 세 명의 공저자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이하 과사철에서 학위 과정을 밟던 무렵 경험했던 과학기술학의 위치와 정체성 동요를 솔직하게 서술한다. 저자들이 원고 구성 단계부터 계획했던 ‘대담’(책에서는 <나가며> 중 일부 대화에서도 실험실 연구는 라루트로 (학술적 연구나 논의가 끝난 거 아니냐라는 반문도 있었다는 회고가 등장한다. 그럼에도 저자들이 과학자 부족 내부에서 그들처럼 살아가며 장기간 참여관찰을 수행할 수 있었던 이유를 ‘연루’라는 열쇳말 속에서 찾는다.
저자들은 모두 이공계 학부를 졸업했다. 장하원은 “실험의 쳇바퀴” 밖에서 과학을 보고 싶었고, 김연화는 망하기만 하던 실험실 생활로 인해 인생을 망치는 대신 전공을 바꾸었으며, 과학고를 졸업했는데도 일찌감치 수학자의 꿈을 접고 “일말의 아쉬움도 없이 다른 길을 택했”던 임소연은 “자연과 환경에 관한 인문사회학적인 공부”를 하기 위해, 성한아는 학부 시절 곤충학 채집 여행을 통해 자연에 실험실을 설치하는 현장 생물학의 독특한 과학 실행을 과학기술학의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과사철 과정에 들어간다. 저자들은 우리 사회의 문이과 구분 아래에서 이과생으로 길러지며 과학을 배우고 익히는 동안 과학에 깊이 연루된 몸, 과학을 깊이 육화한 몸이 되었다. 스스로 알아낼 수 없었던 이유로 과학과 불화하는 시간을 겪었지만, 과학기술학을 만난 후 그들이 ‘대문자 과학’(라투르의 용어의 세계에서 한때 길을 잃었음을 깨닫는다.
재회한 과학과 그들이 선택한 현장
네 편의 글 중 정통 실험실 연구에 가장 가까운 김연화의 현장을 먼저 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