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 조선연행사란 무엇인가
1. 조선연행사의 호칭과 그 횟수
2. 조선연행사단의 인원수와 조공무역
3. 조선연행사단의 편성
4. 문제제기
제1부 제1장 조선의 외교 원리, ‘사대’와 ‘교린’
1. 머리말
2. ‘교린’의 본래 의미와 외교 원리로의 채용
3. ‘교린’ 원리와 통신사 파견
4. ‘사대’ 원리와 종족적 화이사상
5. 맺음말
제2장 명청 중국 대조선 외교에서의 ‘예’와 ‘문죄’
1. 머리말
2. 명초 홍무기 대고려 외교와 조선 외교문서 비례(非禮 사건
3. ‘인조반정’과 책봉문제
4. 청초, 조선 외교문서의 격식 위반 사건
5. 맺음말
제3장 1609년 일본의 류큐(琉球 합병 이후의 중국·조선의 대류큐 외교
1. 머리말
2. 청조의 ‘책봉국’은 몇 개국이었을까
3. 1609년 일본의 류큐 합병 직후 명조의 대류큐 외교
4. 1612년 류큐 입공 이후 명조의 대류큐 외교
5. 조선·류큐의 외교 두절
6. 맺음말
제4장 류큐의 국제적 지위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인식
1. 머리말
2. 18세기 조선연행사의 3개의 류큐인 견문록
3. 원중거와 성대중의 류큐 인식
4. 홍대용과 박지원, 이덕무의 류큐 인식
5. 1794년 류큐 표류민의 육로송환과 박제가의 [북학의]
6. 맺음말
제2부 제5장 1574년 조선연행사의 ‘중화’국 비판
1. 머리말
2. 허봉과 조헌
3. ‘예의지방(禮義之邦’의 사람들에 대한 처우
4. 양명학, 옳은가 그른가
5. ‘중화’국의 현실과 비판
6. 맺음말
제6장 개혁방안 [동환봉사]에 나타난 조헌의 중국 보고
1. 머리말
2. 중국 보고와 실제 견문(1
3. 중국 보고와 실제 견문(2
4. 맺음말
제7장 조선연행사에 의한 반청(反淸 정보의 수집과 보고
1. 머리말
2. 민정중의 중국 여행
3. ?왕수재문답? 분석
4. 맺음말
제3부 제8장 조선연행사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