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면서 · 4
머리말 · 12
1부 조선 국왕의 사후, 흉례도감의 왕릉 제작
1장. 국장시, 도감의 설치와 운영
1. 흉례시 도감의 조직과 운영실태 · 20
2. 빈전도감, 국왕 시신의 수습 · 34
3. 국장도감, 재궁과 명기의 제작 · 66
4. 산릉도감, 왕릉의 조성 · 85
5. 혼전도감, 3년간 선왕의 제사 · 88
6. 부묘도감, 신주의 종묘 안치 · 98
2장. 산릉도감 각소의 왕릉 조영 과정
1. 삼물소의 회격 조성 · 105
2. 보토소의 봉토 쌓기 · 113
3. 조성소의 건물 영건 · 115
4. 대부석소의 석조물 제작 · 149
5. 수석소의 석재 운반 · 170
6. 노야소의 철물 제작 · 172
7. 분장흥고의 지의와 종이제작 · 177
8. 번와소의 기와 제작 · 192
9. 별공작의 상탁 제작 · 198
2부 고려말 조선초기, 왕릉의 조성
3장. 조선 태조의 4대조릉 조성
1. 조선 이전의 중국 4대조릉 · 210
2. 명·청대의 4대조릉 조성 · 218
3. 조선 태조 이성계의 4대조릉 조영 · 230
4. 조선후기 4대조릉의 관리와 보수 · 238
4장. 고려말 조선초기 왕릉의 양식 변천
1. 고려왕릉과 중국 황제릉의 조성 실태 · 251
2. 공만왕 현릉과 원 능묘의 양식 비교 · 266
3. 조선초기 태조비의 왕후릉 조성 실태 · 272
4. 조선초기 태조.태종대 왕릉의 양식 비교 · 289
3부 조선왕릉의 조성과 양식 변천
5장. 조선 전기 왕릉의 양식 변천
1. 15세기 왕릉과 왕후릉 · 300
2. 16세기 왕릉과 왕후릉 · 392
6장. 조선
저자의 끈질긴 집념과 노력 그리고 ‘조선왕릉’을 향한 진정한 ‘장인정신’으로
드디어 세상에 나오게 된 책!
‘조선왕릉’에 관한 모든 것을 총 망라해 오롯이 담은 책!
조선왕릉은 조선을 다스린 왕이나 왕비가 영원히 안식을 취하는 유택(幽宅!
조선왕릉은 풍수사·의례사·건축사·조각사 등을 아우르는 국가적 상징물!
현존하는 조선 왕릉과 왕후릉 40기는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탁월하다고 세계가 인정하여 2009년 6월 29일에는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이 책은, 국가 사적이자 세계문화유산인 조선왕릉에 대한 연구성과를 확장했다!
이 책은, 조선왕릉의 조성과정을 통해 장인들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 점에서 기존의 조선왕릉과 여러 면에서 차별화된 장점을 갖고 있다!
이 책은, 조선왕릉 중 신의왕후 제릉이나 정종 후릉 및 태조 4대조 부모의 북도팔릉처럼 북한에 위치한 왕릉을 10여 년간 남북교류를 통해 필자가 확보한 독자적인 자료와 내용으로 처음 다루었다.
제1부는 조선 국왕의 사후 흉례도감과 왕릉제작이다. 1장은 국장 때 설치하는 도감을 빈전도감, 국장도감, 산릉도감, 혼전도감, 부묘도감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2장은 릉도감에서 왕릉을 조영하는 각 제작처로서 삼물소, 보토소, 조성소, 대소부석소, 수석소, 노야소, 분장흥고, 번와소, 별공작의 장인과 그들의 제작활동을 다루었다.
제2부는 고려말 조선초기 왕릉의 조성이다. 1장은 조선 태조의 4대조릉을 한중 문헌사료와 현존 유물의 비교를 통해 제작과정 및 관리 실태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고려말 조선 초기 왕릉의 변천과정을 13세기 고려왕릉에서 태종대까지 왕릉의 조성을 통해 밝혀보았다.
제3부는 조선왕릉의 양식 변천이다. 1장은 조선 전기에 해당되는 15세기와 16세기 왕릉과 왕후릉으로 전형화되는 과정을 다루었다. 2장은 조선 후기에 해당되는 17세기와 18세기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