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
저자 우실하
출판사 지식산업사
출판일 2018-09-28
정가 38,000원
ISBN 9788942390519
수량
여는 글 ?5

제1부
요하문명의 발견과 자연-지리-기후적 조건 ∥5

제1장 서론 ?17

1. ‘○○유지(=유적’, ‘○○문화’, ‘○○문명’ 개념 _17
2. 요하문명과 고조선문명의 관계 설정 문제 _19
3. 요하문명에 대한 한·중·몽골의 시각 차이 _21
4. 요하문명 관련 국내에 잘못 알려진 것 _33
5. 요하문명 지역의 각종 고고학문화의 연대 측정에 대한 의구심에 대하여 _40

제2장 요하문명에 대한 개괄적 소개 ∥47
1. 요하문명의 발견과 중국학계의 충격 _47
2. 주요 신석기-청동기시대 고고학문화의 편년과 분포 범위 _49
3. 요하문명과 홍산문화의 기본적인 성격 _55
4. 요하문명 지역의 신석기-청동기시대 유적 분포 _58

제3장 ‘요하문명’의 발견과 중국학계의 발 빠른 대응 ∥63
1. 우하량유적의 발견 _63
2. 중원과는 독자적인 ‘원시문명’ 혹은 ‘요서 지역 고문명’ _64
3. 곽대순에 의해 ‘요하문명’으로 명명되다 _65
4. 중국학계의 발 빠른 대응 1: 요하문명의 주도세력을 황제족(黃帝族으로 _68
5. 중국학계의 발 빠른 대응 2: 국가주도의 각종 역사관련 공정(=프로젝트 _78

제4장 요하문명 지역의 자연-지리-기후적 조건 ∥97
1. 요하문명 지역 지형 _97
2. 요하문명 지역의 수계와 유적 분포 _99
3. 요하문명 지역의 사막 _120
4. 요하문명 지역의 과거 1만년 동안 기후 조건의 변화 _133
5. 요하문명 지역의 화산 _153

제2부
요하문명의 주요 고고학문화와 한반도 ∥169

제5장 소하서문화(小河西文化: BC 7000?6500와 한반도 ∥171
1. 소하서문화에 대한 개략적 소개
한국 최초로 요하문명의 모든 것을 거시적으로 분석, 고조선문명의 시원을 추적하는 역작
유물에 나타난 고대사상과 과학 현상을 탐구하여 동북아 공동문화의 요람으로서 성격을 밝히다


한국 요하문명 연구의 선구자이자 권위자 우실하 교수가 요하문명과 고조선문명의 관계를 밝힌 역작(고조선문명총서3을 선보인다. 2000년부터 요녕대학 교수로서 중국과 한국을 오가며 연구에 매진한 저자는 국내 유일무이한 요하문명의 입문서로 한국독자들을 안내한다. 각종 도판과 답사 사진 등으로 마치 만주 일대 유적 곳곳을 탐방한 듯한 현장감이 가득하며, 요하문명의 시기별 변천과정 및 고조선문명과의 관련성을 상세하면서도 논증적으로 해설한다.

요하문명 탄생과 소멸의 조건

요하문명은 신석기시대 4대문화권이 모두 공존하는 세계에서 유일한 지역으로서 황하문명보다 발달된 문명이다. 중국에서는 요하문명=황제족의 문명이라며 대대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 주제를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한국 학자는 거의 없다. 이 시점에서 저자는 요하문명 탄생의 조건과 그 소멸 원인까지 본격적으로 상세하게 탐구하고 있어서 더욱 돋보인다. 저자는 요하문명 지역의 시대별 상대 고도를 보면 오래된 유적지일수록 상대위치와 해수면이 높은 사실을 들면서, 해수면이 최고조에 이른 홍산문화 유적지들이 그보다 이른 흥륭와문화, 조보구문화 유적들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것은 농경에 유리한 낮은 지역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또한 요하문명이 꽃피던 신석기시대에 해수면이 평균적으로 10m 정도 높은 온난하고 습한 기후였다가 홍산문화가 종말을 고하는 BC 3000년 즈음에 반습-반건조 기후로 바뀌는 결정적인 원인으로, 홍산문화 후기 단층작용과 함께 백두산 지역의 화산 폭발을 들고 있다. 특히 후자는 홍산문화 유적지들이 요동 지역과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을 설명해주기 때문에 더욱 설득력이 높다.

요하문명과 고조선의 상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