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제1장 생명체
제2장 생명체와 ‘천상의 사물들’
제3장 하나의 경험을 갖는다는 것
해제―삶과 예술의 유기적 통일을 위한 철학적 정초|이재언
1. 경험철학의 실천자, 듀이
2. 《경험으로서의 예술》의 형성 배경
3. 미학에 대한 미학, 《경험으로서의 예술》
(1 생명체와 미적 경험
(2 표현과 정서
(3 표현적 실체와 형식
(4 에너지의 조직화
(5 예술에 있어서의 실체
(6 인간적 기여와 철학에 대한 도전
(7 예술 비평과 지각
4. 《경험으로서의 예술》이 갖는 오늘의 의의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예술에 대한 구분이 진정한 의미를 더 왜곡시킨다
교육학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존 듀이는 미국을 대표하는 철학자이기도 하다. 프래크머티즘(실용주의 철학자인 그는 현대 예술을 순수 예술과 실용 예술로 구분하는 것이 예술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줄 뿐만 아니라, 예술 자체에 대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인간의 일상적 경험 가운데 하나였던 예술이 예술을 위한 예술이 되어 박물관으로 들어가기 시작하면서부터 일상생활과 동떨어지기 시작했다고 특히 강조한다. 그는 예술을 편협한 구분에서 벗어나게 해 우리의 일상과 자연의 영역으로 다시 되돌림으로써 그 의미를 확장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인생과 예술은 연결되어 있다
흔히들 예술을 멀리 떨어진 고급스러운 것으로 여기곤 한다. 하지만 우리에게 많은 활력을 주는 예술은 사실 사람들이 예술로 여기지 않는 것들이기 쉽다. 예를 들면, 영화, 재즈, 연재만화 등이 그렇다. 철학이나 미학 모두 이론적으로 심화될 때 발생하는 문제는 현실 또는 생활의 문제에서 그것들이 멀어진다는 것이다. 듀이에게는 이러한 현실과 이론의 간극을 좁히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그가 평생 역점을 둔 철학적 핵심이 바로 이분법적 세계관의 극복이기도 했다.
아주 많은 듀이 미학 추종자들이 그의 미학이 온전히 회복되고 재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경험으로서의 예술》이 예술에 대한 전망을 담고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이념이나 양식이 필요 이상으로 동시대의 예술을 정의하고 있는 예술 상황을, 특히 왜곡되고 모순에 처한 현대 예술의 배경과 원인을 날카롭게 분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듀이는 특정의 이념이나 양식의 폐해를 지적하기보다는 특정의 것이 예술의 본질을 왜곡하게 된 역사적·사회적 배경과 원인을 지적함으로써 오늘의 예술 현장에서 역할을 맡은 작가나 비평가, 이론가, 애호가 등의 모든 관련자들이 놓치기 쉬운 본질적인 문제들을 환기하고 지적하고 있다. 그는 예술이 현실과 괴리된 지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