옮긴이 해제 | 임금에 대한 마르크스 경제학과 부르주아 경제학의 차이점 5
케임브리지 경제학 편람 편집위원회 서문 17
네 번째 수정판에 부쳐 21
제1장 임금제도
제1절 서론 27
제2절 노예, 농노, 장인 28
제3절 임금제도의 특성 31
제4절 경제적 자유 32
제5절 프롤레타리아의 성장 37
제6절 예속수준의 다양한 편차 41
제7절 임금과 순생산 43
제2장 임금과 생활수준
제1절 구별과 정의 49
제2절 총생산의 일부로서의 임금 51
제3절 명목임금과 실질임금 57
제4절 임금률과 임금소득 61
제5절 생계비지수 68
제6절 실질임금의 추이 75
제7절 빈곤 81
제3장 임금의 지불
제1절 임금과 생산비 89
제2절 임금지불과 유인체계 93
제3절 성과급과 ‘작업속도 증가’ 95
제4절 성과임금률의 인하 99
제5절 초과상여금제도 101
제6절 목표상여금제도 103
제7절 베도 제도와 점수급여제도 105
제8절 성과급의 적용영역 108
제9절 하청계약 114
제10절 검량과 측정 116
제11절 현물급여제도와 공제제도 118
제12절 이윤배분 120
제13절 성과급과 임금소득 123
제14절 연동임금제 127
제15절 노동시간 131
제4장 임금이론
제1절 임금이론이 추구하는 목적 137
제2절 전통적인 임금이론 140
제3절 생계비설 141
제4절 습관과 관습의 영향 143
제5절 마르크스와 단체교섭력 147
제6절 임금기금설 149
제7절 한계생산력설 155
제8절 마셜과 수요공급설 161
제9절 노동의 공급 164
제10절 발명과 임금 166
제5장 임금과 교섭력
제1절
현재 노동자의 입장에서 ‘임금’문제를 다룬 책이 거의 없는 우리의 실정
임금(wages을 다루는 경제학의 명백히 대립되는 두 개의 관점 가운데, 자본가의 관점을 반영하는 책들은 경영학 분야에서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에 비해 국내에는 ‘노동자’의 관점에서 임금 문제를 다룬 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노사관계의 가장 중심영역인 임금에 대한 안내서가 거의 없다는 사실은 ‘노동’의 대가만큼 정당한 임금을 받아야 하는 노동자 입장에서는 임금교섭의 지침 내지 교과서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영국의 저명한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John Maynard Keynes가 ‘케임브리지 경제학 편람’이라는 제목으로 기획, 편집한 것으로 “일반 독자와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대학생들에게 경제학자들이 현재 경제 문제들에 사용하는 이론의 일반적 원리를 담고 있는 개념들을 전달하기 위해 기획”된 것처럼 경제학 관련서치고는 쉽게 읽히는 장점이 있다. 특히나 원서가 1928년 처음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개정판(모두 13차례이 나온 점을 염두에 둔다면, 시기를 초월하는 어떤 보편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볼 수 있다.
자본가는 임금의 ‘관리’에, 노동자는 ‘교섭’에 초점을 두고 있다
임금은 자본주의 경제에서 노동력을 매매하는 과정을 이루는 핵심변수이며, 이 매매는 자본가와 임금노동자라는 두 계급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두 사람의 목적이 서로 다르다. 노동자는 임금을 얻는 것이 목적이며 자본가는 노동자에게서 노동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자본가가 노동을 얻고자 하는 까닭은 그 노동 속에 노동자에게 지불되는 임금을 초과하는 잉여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르크스가 ‘잉여가치’, 부르주아 경제학이 ‘이윤’이라고 부르는 부분이다. 그런데 노동자가 제공하는 노동 속에 노동자의 임금과 자본가의 잉여가치가 함께 들어 있기 때문에 한 쪽의 크기가 커지면 다른 한 쪽의 크기는 작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