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표 목록
제1장 삼국 이전의 서예
1. ‘서書’의 연원과 변천
2. 한반도의 한자 수용과 확산
3. 삼국 이전의 서예
(1 그림으로 의사를 표현한 선사시대 암각화
(2 한나라에서 전래된 낙랑군 서예
제2장 고구려의 서예
1. 한자의 수용과 발달
2. 고구려 서예의 특징
(1 중국풍이 가미된 고분묵서명 글씨
(2 웅건하면서 자유자재한 석각 글씨
(3 고박하면서 절제된 동명 글씨
(4 예스럽고 굳건한 전명‧와명 글씨
(5 강건한 고구려 유민 묘지명 글씨
3. 신라 서예에 미친 영향
(1 신라 서예의 고구려적 요소
(2 신라 서예에 영향을 미친 시대적 배경
4. 맺음말
제3장 백제의 서예
1. 한자의 수용과 불교문화의 발달
2. 백제 서예의 특징
(1 유미하면서 강건한 석각 글씨
(2 세련되고 순박한 동명 글씨
(3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전명‧와명 글씨
(4 유려하면서 노련한 목간 글씨
(5 전아한 백제 유민 묘지명 글씨
3. 일본 서예에 미친 영향
(1 일본 서예의 백제적 요소
(2 일본 서예에 영향을 미친 시대적 배경
4. 맺음말
제4장 신라의 서예
1. 한자의 수용과 변용
2. 신라 서예의 특징
(1 정연하면서 단아한 동명‧칠기명 글씨
(2 고박하면서 토속적인 석각 글씨
(3 투박한 묵서명과 자연스러운 토기명 글씨
(4 순박하면서 강건한 목간 글씨
3. 가야 서예에 미친 영향
(1 가야 서예의 신라적 요소
(2 가야 서예에 영향을 미친 시대적 배경
4. 일본 서예에 미친 영향
(1 일본 서예의 신라적 요소
(2 일본 서예에 영향을 미친 시대적 배경
5. 맺음말
장별 영문 요약
부록
서예 용어 / 삼국 문자 유물 지도 / 삼국시대 서예사 연표 / 중국(한漢~당唐 서예사 연표
그림 목록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는 삼국 글씨의 다름에서 독창성과 정체성을 찾고자 한 동시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밖에 없었던 삼국의 서예가 공통점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각기 다른 색을 가진 삼국의 글씨는 각기 다른 역할로 고대 동아시아 문자문화에 금자탑을 세웠음을 설명하고 있다.
삼국은 석비, 벽돌, 기와, 나무 등 다양한 재료에 문자를 남겼으며, 그 내용은 공적인 것도 있고 사적인 것도 있다. 용도에 따라 재료의 선택이 달라지고 글씨가 달라지기도 했으며, 서사 재료나 도구에 따라 서체와 서풍이 달라지기도 했다. 반면 약 1세기 동안 같은 서풍을 유지한 나라도 있다.
삼국 서예의 특성과 그 영향
고구려의 글씨는 용도에 따라 서풍을 달리했는데, 공식 비문에서는 웅강함을, 비공식 각석에서는 자유스러움을 추구했다. 즉, 국가적 사건을 기록한 비에는 고구려의 진취적 기상을 드러내는 웅건무밀한 글씨를 썼고, 개인적 용도의 금석문에는 편한 마음으로 자유로운 서체를 구사했다. 이것은 삼국 가운데 고구려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고구려 서예의 특징이자 정체성이라 해도 무방하다. 또한 고구려 서예는 신라 서예에 영향을 주었다. 신라 왕경인 경주에서 출토된 <광개토왕호우>, <연수원년명은합>과 <광개토왕비>, <집안고구려비>, <충주고구려비>, <평양성고성각석> 등 5, 6세기 고구려 금석문에 보이는 예해지간의 글씨, 힘차면서 고박한 서풍, 예서와 행서의 필의가 가미된 필법 등을 통해 6세기 신라비와의 유사성을 찾을 수 있다.
백제는 고구려나 신라에 비해 전아하면서 유려한 서풍을 구사했는데, 이는 중국 남조와의 빈번한 교류를 통해 선진문화를 수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래에 출토된 불교 관련 문자 자료들은 기존의 서풍과 대비되는 질박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어 백제 서예에 대한 총체적 연구가 필요해졌다. 또한 고구려에는 없는 행정 문서인 목간이 다량 출토되어 백제의 서예문화를 더 깊게 살필 수 있게 되었다.
백제 서예는 동질성보다는 이질성을 중시하면서 서사 재료에 따라 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