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계급의 탈주자와 게이로서의 자기 발명
이야기는 디디에 에리봉이 아버지의 죽음 이후, 스무 살에 떠나온 후 30년 동안 한 번도 돌아가지 않았던 고향 ‘랭스’(파리 교외로 어머니를 방문하며 시작된다. 저자는 아버지가 병에 걸렸다는 소식을 듣고도, 심지어는 아버지의 장례식이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갈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만큼 아버지에 대한 증오는 뿌리 깊은 것이었다. 아버지는 그 시대 노동자 계급의 화신과도 같은 인물로, 자신이 되고 싶지 않은 모든 것을 결합해놓은 것 같았다. 롤랑 바르트가 어머니의 죽음 후 깊은 절망에 빠져 그 절망이 그의 존재를 변화시킬 지경이었다고 기록했던 것과는 달리, 에리봉은 아버지의 죽음이 그다지 고통을 안겨주지 않았다고 이야기한다. 그보다는 일종의 혼돈을 불러왔는데, 이는 그동안 잊었다고 믿고 있었던 이미지들을 깨어나게 하여, 아버지를 그토록 미워하게 된 이유를 생각해보게 하고, 계급 분화와 사회적 요인들이 주체성 구성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질문들을 연이어 촉발시켰다.
이 책을 쓰기 전까지 에리봉은 가족과의 단절이 자신의 동성애 성향과, 아버지와 자신의 성장 환경 밑바탕에 깔려 있는 동성애 혐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생각했고, 그것을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사유하기 위한 틀로 설정해왔다. 그는 가족과의 단절이 출신 배경과의 계급적 단절이기도 했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으려 했다고 고백한다. 에리봉은 자신이 왜 그러한 선택을 하게 되었는지 질문하며, 자신의 주관적 경험을 재료 삼아 전체 사회 안에서 노동자 계급이 처한 상황과 그것이 재생산되는 구조를 그려낸다. 그리고 그러한 환경에서 성장한 노동자 계급의 자녀들은 어떠한 궤적을 따라 성장하게 되는지, 그 안에서 이중의 소외를 겪는 자신과 같은 동성애자에게는 어떠한 선택지가 주어져 있었는지 이야기한다. 에리봉은 자신이 사상적으로는 좌파임을 자임하면서도, 현실에서는 노동자 계급 가족을 외면하고 부끄러워했다고 말하는데, 이렇듯 스스로의 이중성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나 동성애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