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설(論說
불교순전철학
1. 서분(序分
역사적 개념과 불교순전철학 | 관념 | 논리
2. 정종분(正宗分
붓다 | 다르마
사키아무니와 그 후계자
부자연스러운 사회 | 현실을 타개하고자 하는 노력 | 싯다르타의 탄생 | 싯다르타의 출가 | 싯다르타의 수행 | 싯다르타의 깨달음 | 샤키아무니의 고통과 그를 향한 결집 | 구세주가 된 샤키아무니와 그의 최후 | 두 가지 우주창조설 | 샤키아무니의 우주관 | 인류가 방황하는 이유 | 천상천하 유아독존 | 샤키아무니의 여성관 | 샤키아무니의 윤리관 | 샤키아무니의 법률관 | 샤키아무니의 교육관 | 세계로 나간 불교 | 대승불교의 탄생 | 대승불교의 완성 | 나오며
샤키아무니
두 가지 우주창조설 | 샤키아무니의 우주관 | 신우주관을 요구하였던 인도 사회 | 싯다르타의 탄생과 출가 | 싯다르타의 난관과 깨달음 | 불교의 전파
유사 이래로 철학상에 문제되는 지사(智砂와 조금술(造金術은 금일에야 해결할 수 있을까
개관 | 조금술의 역사 | 조금술의 현재
대입소(大入小의 일리(一里: 일모단(一毛端에 현보왕찰(現寶王刹
‘대입소의 일리’의 출현 | 반도의 ‘대입소의 일리’ | 지구, 달, 태양 | 태양계, 은하계, 은하군 | 분자와 원자 | 원자의 조직 방식과 운동 | 분자의 운동 | 공기 | 전기장과 자기장 | ‘일모단 현보왕찰 미진리 전대법륜’의 의미 | 법률생활 | 경제생활 | 정신생활 | 가정의 성립 | 미적 취미 | 정신과 육체가 조화되어 행하는 사랑
대우(大宇와 인류의 생(生적 준칙
‘나’란 무엇일까
시작하며 | 나는 나를 위해 사는가 | 무가치한 생활 | 한인의 자아실현 방식 | 서구인의 자아실현 방식 | 주신족의 자아실현 방식 | 마치며
‘나’에 대한 고찰
3독심 | 9상차제 | 5종계 | 6도윤회 | 절대 능력의 실현
자아의 인식으로 자아의 독립에
인류란 무엇인가
나의 신앙과 느낌
우리의 신앙은 어떠한가
근래 불교운동에 대하여
세계로 나아간 불교
백성욱 사상의 기초, ‘불교순전철학’
1924년 10월 《동아일보》에 실리고, 1925년 《불교》지에 7회에 걸쳐 전문(全文이 실리기도 했던 백성욱의 독일 박사논문인 〈불교순전철학〉은 당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불교순전철학(佛敎純全哲學’의 독일어 원문은 ‘Buddhistische Metaphysik’로, 현대어로 풀이하면 ‘불교 형이상학’을 의미한다. 백성욱 박사는 불교를 “실제 현실로부터 구해 얻은 진리를 각개의 주관이 아닌 객관적 견지에서 연구하는 의식 철학”이라고 규정하고, ‘붓다’를 진리의 주관, ‘다르마’를 진리의 객관이라고 하였다. 그는 남방불교(소승와 북방불교(대승에서 실상에 대한 철학적 접근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소승은 주관을 비우려 하나 객관에는 공포심을 극복하지 못하였지만, 대승은 주관과 객관이 모두 인간의 선입견과 망상에서 건립된 것이며 여기서 벗어나면 자유롭게 된다고 하였다. 그의 진리 탐구 방식인 인식론은 ‘긍정→부정→불긍정·불부정’이라는 논법을 따르고 있다. 이 논리 형식은 다섯 가지 심리학적 요건인 5온(五蘊 위에 건립한 우리의 정신이 선입견과 오류를 버리고 객관적 진리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이런 형이상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그는 진리의 주관인 붓다를 석가모니의 마음을 이어받은 ‘미륵존여래불’이라 보았고, 진리의 객관인 달마를 대표하는 경으로 《금강경》을 정하였다. 그의 철학 이론은 동아시아의 불교철학과 한국의 전통민족사상을 종합한 자신만의 독창적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 철인들은 그들의 견지가 굉대한지라, 좀 유별한 논법을 사용하였다. 다만 유별하다는 이 논법도 자세히 관찰해보면 다른 것이 아니요, 앞서 증명해온 3단을 다른 형식으로 사용함에 불과하다. 이 형식은 긍정·부정, 불긍정·불부정이다. 예를 들면, ① 이 세계는 한계가 있다. ② 이 세계는 한계가 없다. ③ 이 세계는 한계가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다. 여기에서 상대자는 아무 의심 없이 긍정하리라 한다.”_〈불교순전철학〉에서(p. 3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