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일제 강점기 건축은 당시 시대 상황과 어떻게 맞물려 있을까?
1부. 일본의 침략과 조선의 궁궐
1. 20세기 일본 제국주의의 특징
유럽 식민지 vs 일본 식민지
유럽을 모방한 일본식 건축
일본 근린 제국주의의 한양 지우기
군사 제국주의
2. 산업 박람회장이 된 경복궁
경복궁 중건과 아관파천
경복궁에서 개최된 조선 물산 공진회
흥례문을 헐어내고 총독부를 짓다
다시 시민의 품으로
3. 미술관이 된 덕수궁
경운궁 중건과 한성 개조 사업
우리나라에 지어진 최초의 서양식 궁전
덕수궁 앞에 들어선 경성부 청사
미술관이 된 덕수궁
서울도서관이 된 경성부 청사
4. 동물원이 된 창경궁
순종 즉위와 창덕궁
창경궁은 왜 ‘창경원’이 되었나?
제관 양식으로 지은 ‘이왕가 박물관’
창덕궁-조선의 역대 왕들이 가장 오래 머물렀던 공간
2부. 민족성을 말살하는 일제의 건축물
5. 함춘원과 성균관의 수난
창경궁 후원에 세워진 대한의원
성균관의 교육 기능을 없애다
일본의 여섯 번째 제국대학, 경성제대
대학의 거리가 된 봄의 정원
6. 민족성을 말살하는 조선 신궁
일제의 유화 정치와 신궁 건립
조선 신궁과 경성 신사
전국 거점 도시에 들어선 일본 신사
전시 체제기 호국 신사의 등장
7. 이토 히로부미 추모 사찰, 박문사
별기군 해체 후 들어선 경성운동장
장충단의 이토 히로부미 추모 사찰
의류 디자인 중심지 동대문
3부. 건축으로 보는 일제 잔재 청산
8. 종로에서 명동으로 바뀐 상권
선혜청과 육의전
은목전이 세운 은행, 광통관
식민지 경제의 두 축-은행과 백화점
해방 후 찾아온 변화
9. 경제 수탈의 출발지, 경성역
산업 혁명과 식민 지배의 상징-철도
군사 기지의 도시, 용산의 성장
도시 구조를 바꾼 식민 지배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철도 중심지-경성역
금단의 땅에서 시민의 공원으로
10. 해방 후 일제 건축의 청산
한국 재벌의 일제 잔재
독재
<본문에서>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건축물 중 대표적인 것이 경성역사 (현 문화역 서울284, 조선은행(현 한국은행 화폐 박물관 등인데, 17~18세기 유럽에서나 봄 직한 형태로 고풍스럽습니다. 예술 사조에서는 이미 모더니즘이 유행하던 20세기 초반이었지만, 건축에서는 때아닌 복고 바람이 불고 있었습니다. 유럽을 모방하던 일본은 시대에 뒤떨어진 네오 르네상스, 네오 바로크 양식을 답습했고 그것이 한국에 그대로 이식되었기 때문입니다. - 본문에서
1945년 해방이 되어 일제는 물러갔지만 총독부 건물은 대한민국의 중앙 관청인 중앙청 건물로 사용되었습니다. 1950년에 발발한 한국 전쟁으로 서울의 건물은 대부분 파괴되었고 중앙 관청을 새로 지을 여력이 없어 기존 총독부 건물을 수리하여 사용한 것입니다. 그래서 1950~80년대 초중반까지 총독부 건물은 ‘중앙청’으로 불리면서 정부 중앙 관청 역할을 했습니다. - 본문에서
평리원을 헐고 지은 경성재판소는 해방 후 대법원으로 사용되다가 1995년 대법원이 서초동으로 이전한 뒤 서울 시립 미술관이 되었습니다. 독립공원 자리에 있던 서대문 형무소는 해방 후에도 교도소로 사용되다가 1987년 교도소가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하고 지금은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이 되었습니다. 일제 강점기 독립투사를 투옥했던 시설이 그대로 재현되어 있어 당시의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 - 본문에서
창경궁에는 뜰과 연못에 온통 꽃나무가 심어진 가운데 박물관, 동물원, 식물원 등 유럽 제국주의 시절에 성행하던 시설이 모두 들어섰습니다. 이름조차 ‘창경원’으로 바꾸어 버리면서 조선의 궁궐을 한낱 놀이공원으로 만들었습니다. 1924년부터는 벚꽃이 피는 4월이면 창경궁 곳곳에 600여 개의 전등을 달고 밤에도 벚꽃 놀이를 즐기게 했습니다. - 본문에서
식민 통치는 크게 정치와 경제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경제는 정치권력과 달리 민간 자본에 의해 움직입니다. 하지만 기존의 것을 제압하기 위해 그것을 대체할 새로운 시설을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