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전후 불교계의 현실 인식과 우리 불교의 미래 / 박병기
1. 우리 현실과 3·1운동 전후
2. 3·1운동 전후 불교계의 현실 인식
3. ‘근대불교’의 현재적 극복과 우리 불교의 미래
4. 평화 정착과 정신적 독립을 위한 종교간 연대와 불교
3·1운동 정신과 여성불자의 역할 / 옥복연
1. 들어가기
2. 근대적 시공간에서의 한국불교와 여성불자의 현실
3. 계몽의 대상에서 변혁의 주체로 성장한 여성불자
4. 해방 이후 한국불교와 여성불자의 비주류화
5. 성평등한 사회를 위한 변혁과 해방의 주체 되기
3·1운동 이전 의병운동의 사상적 특징 / 이미림
1. 조선의 변화와 시대적 가치
2. 의병운동의 사상적 배경
3. 현실적 실천과 위정척사론
4. 유교, 온고지신(溫故而知新을 통한 미래가치
3·1운동과 심산 김창숙의 천리(天理 구현 / 황상희
1. 유교의 종교성 혹은 천리에 대한 믿음
2. 심산의 사상적 배경
3. 유교적 맥락에서 3·1운동의 배경
4. 유림단의거(儒林團義擧
5. 심산의 선비정신
6. 현재의 과제
한국천주교회와 3·1운동 / 경동현
1. 들어가며
2. 3·1운동 시기 이전의 한국천주교회와 공론장
3. 3·1운동 전후 시기의 한국천주교회와 공론장
4. 3·1운동에 대한 천주교회의 공식 입장
5. 천주교 신자들의 3·1운동 참여
6. 해방 이후 한국천주교회의 지배적 공론장의 변동
7. 종교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평신도의 역할
8. 3·1운동 100주년과 평화운동
여성의 관점에서 성찰한 조선 천주교회의 신앙과 3·1독립운동 / 최우혁
1. 조선-식민지-한국의 역사 안에서 천주교의 정체성
2. 조선천주교회의 시작과 박해의 역사 100년
3. 대한
3.1운동 100년, 무엇이 달라졌나?
3.1운동 100주년이 절정을 향해 치달아간다. 3.1운동 당시와 지금을 비교하면 어떤 점이 다를까? 3.1운동 때 갈구하던 주권회복과 독립을 이룩하여, 유엔의 일원인 대한민국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내내 일본이 우리 민족에게 주입시키고 세계 각국에 악선전(惡宣傳하던 바, ‘조선인은 자치 능력이 없다’고 하던 것은 그때도 틀렸고 지금도 거짓말임이 틀림없다. 당시 ‘소요사태’로 불리던 3.1운동은 이제 ‘3.1혁명’으로 인식된다. 당시 일제의 수탈에 터무니없이 열악하여 3.1운동의 한 목적이기도 했던 한국의 경제, 사회, 문화적 인프라는 이제 당당히 세계 10위권의 반열에 들어섰다. 게다가 한류 열풍이 세계를 휩쓸고 있음을 흐뭇하게 지켜볼 수 있게 되었다. 당시의 2천만 인구는 이제 남북한과 해외를 통틀어 8천만 명을 헤아리게 되었고, 뼈아픈 ‘남북 분단’의 현실도 마침내 통일이 가시권 내로 들어오는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3.1혁명의 위대한 운동 경험을 축적한 한민족은 그 이후로도 4.19혁명, 5.18광주민주화운동을 거쳐, 촛불혁명이라는 세계사상 유례가 없는 명예혁명을 이룩하는 역사를 일구어왔다.
살림살이 좀 나아졌나?
그러나 위와 같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 이후의 100년 안팎의 한국 근현대사를 거쳐 온 오늘의 우리나라는 수많은 과제를 온존시켰거나, 심지어 더 악화시켜 왔다. 온 민족이 하나 되어 독립만세를 외쳤던 그때에 비하여 우리는 70여 년간 분단과 적대의 세월을 이어오고 있고, 그때나 지금이나 외국군대가 주둔하고 (전시군작전권을 보유하고 있다. ‘왜색(倭色’이 범람하던 데서 ‘외색(外色’이 범람하는 데로 이행하였을 뿐인 면도 없지 않고, 청산되지 못한 일재잔재의 여파로 사회 곳곳이 병들고 찌들고, 선명하지 못하다. 3.1혁명 당시 부르짖던 양심과 정의보다 갈등과 분열과 각자도생의 사회가 먼저 와 버린 것도 같고, 경제의 양적 성장이 나날이 기록 경신을 하고 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