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 문장>
코클리는 기도라는 구체적인 영적 실천을 통해 부분화되고 파편화된 신학의 관점들을 종합하며, 나아가 모든 진리와 거대담론이 해체되는 오늘의 시대에 그리스도교 신학의 자리를 다시금 마련한다(p.7.
그녀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탈종교화를 겪고 있는 서구 사회 현실에서 조직신학의 복권을 시도한다. 보편적, 절대적 가치가 해체되고 있는 시대에, 신학만은 다른 학문과 달리 전체를 조망하고 부분적 관점들을 종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녀는 자신의 신학 방법을 “종합신학”(theologie totale이라고 부른다(p.23.
교회의 권위가 목회적 차원에서는 … 성령의 역할을 부차적인 것으로 축소했지만, 교리적 차원에서는 삼위일체 인격들 간의 존재론적 평등을 신학적으로 확립했다. … 이러한 모순으로 인해 이론과 실천 사이에, 합리주의와 신비주의 사이에, 그리고 긍정신학과 부정신학 사이에 균열이 가기 시작했다(p.37.
코클리가 페미니즘에 관심을 갖는 주된 이유는 여성을 남성보다 우월한 존재로 재신화화하거나 신성화하는 데 있지 않다. 그녀의 궁극적 목표는 남성과 여성 모두를 ‘온전한 인간성’에 이르도록 하는 데 있다(p.47.
깊은 침묵의 기도 속에서 모든 인간은 자신의 근원적인 연약함을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기도는 인간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이를 극복하고 역전시키는 하나님의 힘을 경험하도록 한다. … 기도를 통해 경험되는 ‘취약성-안에-있는-힘’은 위계적, 폭력적 힘에 의지하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지배 질서를 해체하는 참된 힘을 표상한다(pp.53, 55.
욕망이 없다면, 인간은 성령의 이끄심을 따를 수도, 기도를 할 수도, 하나님 앞에서 자기를 비울 수도, 삼위일체 하나님을 경험할 수도 없다. 신앙과 신학이 가능한 것은 인간에게 근원적인 욕망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코클리의 주된 신학적 관심사는 인간의 타락한 욕망을 하나님을 향한 욕망으로 재정향시키고 변형시키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