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비자살적 자해행동의 이해
1. 비자살적 자해행동의 정의 5
1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된 용어들 8
2 비자살적 자해와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행동들 9
3 자살시도와 비자살적 자해 10
2.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이론적 모델 14
1 심리적 모델 14
2 사회적 모델 16
3 생물학적 모델 19
4 심리 역동적 모델 20
5 기능적 모델 21
6 경험 회피 모델 22
7 통합적 모델 23
8 통합적 모델의 수정된 버전 23
3. 비자살적 자해의 진단기준 24
1 기준 A 24
2 기준 B 24
3 기준 C 25
4 기준 D 25
5 기준 E 25
6 기준 F 25
4. 비자살적 자해의 역학 26
1 유병률 26
2 성별 27
3 연령 28
4 비자살적 자해 방법 28
5. 비자살적 자해의 특성 29
1 자살의도의 부재 30
2 직접성 30
3 반복성 30
6. 비자살적 자해의 원인 및 동기 31
1 학습효과 32
2 전략적 대처의 방법 32
3 감정조절의 방법 33
4 감각추구를 위한 방법 33
5 통제감 획득을 위한 방법 34
6 의사소통 방법 34
7 자기처벌의 방법 35
8 정신의학적 상태 35
Ⅱ. 비자살적 자해의 위기관리: 평가, 분류, 개입
1.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성 평가 40
1 비자살적 자해의 과거력 40
2 맥락적 요인 41
3 기능적 요인 43
4 자살경향성 46
5 위험요인 46
6 보호요인 50
7 그 외 비자살적 자해의 평가 항목 53
2. 비자살적 자해의 경고신호와 위험지표들 54
3.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성평가 도구 55
1 옴니버스 척도 56
2 기능적 평가 58
3 행동적 평가 60
4.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성수준 분류와 개입 60
1 경도 수준 61
2 중등도 수준 61
3 심각한 수준 62
Ⅲ. 위기개입자의 역할과 태도
1. 비자살적 자해의 위기관리 67
2. 비자살적 자해의 자살위험성 관리 68
3. 비자살적
최초 출판을 기획할 때는 자해가 학교 현장이나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로 부각되지 않았었는데 점점 십대 청소년 사이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SNS에 관련 영상이나 사진이 난무할 정도로 매우 심각한 상태가 되었다. 하지만 당시에도 자해행동의 심각성에 대해 강조하거나 홍보하는 수준의 노력만이 가능했고 자해행동을 하는 사람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과 관련하여 도움을 얻거나 참고할 만한 자료가 없는 것은 다른 유형의 위기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현장에서의 위기관리총서 집필진이 고민하며 다음 주제는 자해로 하자고 의견을 모았고 그 노력의 결실이 바로 본 비자살적 자해의 이해와 개입이다.
책을 쓰기로 결정하고 자해의 개념부터 개입에 대한 자료를 찾고 정리하면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자살과 자해의 구별은 물론 자해와 비자살적 자해의 차이도 명확하게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자해와 관련된 분야에 대한 연구가 매우 열악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적절한 이해와 개입에 대한 합의를 이루는 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놓여 있다. 이 책의 제목에 들어가는 비자살적 자해(Non suicidal self injury는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자해라는 단어를 대신하는 것이다. 자해와 자살과의 구분을 위해 자신의 몸에 상처를 내기는 했지만 자살의도가 없는 경우를 비자살적인 자해로 정의하고 사용하였다.
이미 출판한 8개 영역의 위기유형에 대한 개입처럼 비자살적 자해의 이해와 개입도 현장에서 비자살적 자해의 위기에 처한 사람들에게 전문가가 해야 하는 개입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즉, 신속하게 신체적인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정서적으로 안정시키고 본격적으로 전문적인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입과정과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매번 확인할 수 있고 분명해지는 것은 해결 불가능한 어려움으로 인해 힘들고 어려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문적인 상담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위기관리전문가는 위기에 처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