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한중 3000년, 그 애증의 역사
저자 이태영
출판사 살림(주
출판일 2021-10-29
정가 16,000원
ISBN 9788952243225
수량
머리말

Ⅰ. 조선 : 춘추전국·진·한(BC 7C~AD 2C, 한·중 관계의 태동
1. 통일 제국의 등장과 동방의 빛
2. 어떤 문물이 오고 갔나?
[열린 역사 광장] 역사와 신화 사이, (고조선 논쟁

Ⅱ. 삼국 : 삼국·진·5호 16국·남북조·수·당(1C~7C, 조공·책봉 관계의 형성
1. 한·중 삼국 시대
2. 나·당 동맹과 백제·고구려 멸망
3. 어떤 문물이 오고 갔나?
[열린 역사 광장] 고구려는 한국사인가, 중국사인가?

Ⅲ. 신라 : 발해 : 당(7C~10C, 제국의 등거리 외교와 신라·발해의 경쟁
1. 발해 건국과 나·당 외교 부활
2. 어떤 문물이 오고 갔나?
3. 10세기 동아시아 세계의 변화
[열린 역사 광장] 동서양 인류 문명의 결정체, 석굴암

Ⅳ. 고려 : 송·요·금~원(10C~14C, 조공·책봉 관계의 발전과 변질
1. 고려 전기 : 5대 10국·송
2. 고려 중기 : 송
3. 고려 : 요(거란·금(여진
4. 고려 후기 : 원(몽골
[열린 역사 광장] 신라, 고려에 ‘신드바드’가 오다

Ⅴ. 조선 : 명·청(14C~19C, 조공·책봉 관계의 확립
1. 조선 : 명
2. 조선 : 여진
3. 조선 : 청
[열린 역사 광장] 조선 세종 때 왜 ‘민족문화’가 발달했을까?

Ⅵ. 개항 이후 조선 : 청(19세기 후반~20세기 초, 조공·책봉 관계의 몰락
1. 동요하는 제국, 청
2. 조선에 대한 청의 내정간섭
3. 한·중 조공·책봉 체제의 몰락
4. 조선의 대한제국 선포
5. 어떤 문물이 오고 갔나?
[열린 역사 광장] 민족주의(내셔널리즘는 ‘손님’이다

Ⅶ. 식민지 조선 : 중화민국(20C 전반기, 반제국주의 한·중 연합투쟁
1. 한·중 연합 항일 전선의 태동
2. 만주사변 이후 한·중 연합 항일 전선
3. 중일전쟁 이후 한·중 연합전선
4. 거짓 정보가 낳은 한·중 참사
5. 중국 공산당을 구한 조선인
6. 어떤 문물이 오고 갔나?
[열린 역사 광장] 역사
역사가 현재의 우리에게 들려주는 말에 귀 기울이며
당당하게 역사를 만나야

냉전 시대 한국과 중국이 대립한 것은 한국전쟁 때문이었지만, 중국과 소련이 북한을 놓고 주도권 경쟁을 벌였기 때문이기도 했다. 남북한 대치 상황에서 북한에 대한 구애는 곧 한국에 대한 적대감 표출이었다. 1989년 봄, 소련 지도자 고르바초프가 중국을 방문해 중·소 관계가 정상화되자 중국은 북한에 신경을 덜 쓰게 됐고, 한국에 다가가기에 좋은 조건이 형성되기에 이른다.
한국과 중국은 수교 협상에 들어갔다. 수교 분위기는 이미 성숙해 있었지만 걸림돌도 있었다. 한국은 중국이 한국전쟁 참전에 대해 사과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 중국은 “당시 국경이 위협받아 인민지원군이 참전했던 것으로 과거사를 제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라는 수준에서 봉합했다.
그리고 한국전쟁 이후 40여 년 만에 한국과 중국은 적대 관계를 청산하고 동반자가 되었다.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듯 한·중 수교는 탈냉전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두 나라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결과였다.
한·중 수교 이후 두 나라 사이의 교역량은 봇물 터지듯 증가했다. 한국은 미국, 일본과 함께 중국의 3대 교역국이 되었고 2003년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한국 최대 교역국이 되었다. 이후 한·중 자유무역협정의 발효로 두 나라 사이의 교역은 더욱 활기를 띠었다. 또한 문화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공연, 대중음악, 드라마 등 ‘한류’가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한류 열풍에 힘입어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도 증가해서 2007년 100만 명, 2019년 600만 명이 한국을 방문했다. 사드 갈등으로 중국 정부가 한국 방문을 제한하는 가운데 나타난 수치라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할 수 있다. ‘중국 붐’도 일어나 중국에 대한 한국인의 관심도 높다. 중국 거주 한국인이 100만 명, 한해 중국 방문 한국인 500만 명을 돌파했고, 인천 차이나타운이 활기를 되찾고 있다. 화교 2만여 명은 고난의 역사를 뒤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