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사례들
제2장특징, 원인, 배경, 역사
제3장노재 보상을 둘러싸고
제4장과로 자살을 없애기 위하여
후기
주요 인용·참고문헌 일람
[권말 자료] 업무에 의한 심리적 부담 평가표
부록 한국의 과로 자살: 결코 낯설지 않은 _김명희
사례를 통해 과로 자살의 원인을 분석하고 방안을 마련하다
이 책에 실린 사례인 38일간 휴일 없는 연속 출근, 33시간 연속근무, 한 달 200시간 초과 근무, 평균 한 달 하루도 채 못 되는 휴일. 상사 및 동료의 괴롭힘. 퇴근하고도 못 마친 일을 집에 가져와서 해야 하는 상황. 갓 입사한 신입을 바로 현장에 투입하고 성과를 내지 못한다고 괴롭히며 장시간 노동을 강요하는 상황 등은 어쩐지 우리나라에서도 있을 법한 상황이다.
저자는 과로사·과로 자살은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며 글로벌 경제체제 아래 세계 각지에서 비슷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한다. 특히 한국이나 중국에서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일본 경찰청 자살통계에 ‘근무 문제’로 집계된 수 중 과로 자살은 대략 연간 2000명 내외로 추정된다. 한국의 과로 자살 통계는 안타깝게도 ‘아직 모름’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일본보다도 높다는 것이다.
일본 노동자에게 이토록 가혹한 노동을 강요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36협정’이 있다. 법으로 정한 연장 가능한 시간 외 노동의 한도는 원칙적으로 월 45시간이지만 이 예외 규정으로 사실상 무한정 노동을 시킬 수 있다. 입법 예고된 우리나라의 탄력적 근로시간제도 이와 비슷한 문제가 있다. 노동자의 건강을 위해 노동시간을 제한하는 법이 도리어 그 반대의 역할을 할 것 같다.
장시간 노동뿐 아니라 괴롭힘에 의한 자살도 과로 자살의 한 종류이다. 상사, 동료, 고객 등 직장에서 일어나는 괴롭힘으로부터 노동자를 보호해야 할 책임이 회사에 있다는 인식이 중요하다. 일본에서는 괴롭힘에 의한 과로 자살 사건을 노재(산재로 인정하게 되었으나 아직 괴롭힘 방지에 대한 적극적 대책은 없다. 다행히 우리나라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이 2018년 제정되었다. 일터에서 일하는 사람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고자 하는 사람들의 노력이 빛을 발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저자가 직접 소송을 담당하면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했고, 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