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에 즈음하여
1부 상황과 문화
1. 세속 시대의 대중문화와 영성 _ 이병성
2. 휴머니즘의 빛과 그림자 포스트휴머니즘의 문화적 양상 _ 전철
3. 뉴트로 문화로 드러난 이미지 지배의 사회 _ 이민형
4. 뉴미디어 사회 속 ‘인플루언서’ 현상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 _ 김상덕
5. 가상세계와 증강현실에 상주하는 디지털 세대에 대한 전도 가능성 _ 남성혁
6. 한국 혼령 판타지 드라마의 종교적 조명 _ 김구
2부 텍스트와 삶
7. 팬데믹 시대의 가족 서사
고레에다의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2013를 읽는 두 개의 관점 _ 강응섭
8. 가족의 탄생
한국 영화/드라마 속 가족 풍경을 통해 재고하는 기독교 가족의 의미 _ 윤영훈
9. 다문화 영화들 속에 비춰진 한국의 기독교 _ 송용섭
10. 한국 여성 영화에 대한 기독교 공동체의 응답 가능성 _ 박종현
11. 방탄소년단을 철학하다 ?메시지가 미디어다 _ 박일준
12. 트로트와 개신교 찬송가에 나타난 ‘한국화’ _ 김명희
이 책의 구성과 주요 논점
이 연구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분은 현재 진행 중인 한국 사회와 대중문화의 흐름을 짚어내고 그것을 성찰할 수 있는 이론적 기술에 속한다. 둘째 부분은 현대 한국 또는 아시아의 대중문화 가운데 구체적 작품들을 분석하고 다각도의 비평을 시도하면서 기독교 공동체 또는 기독교 공동체의 선교적 대안을 모색하는 연구들다.
“1. 세속시대의 대중문화와 영성”은 찰스 테일러의 세속화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 대중문화 비평을 시도한다. 또한 대중문화와 기독교의 접촉점으로 영성을 제안하여 기독교가 대중문화와 접점을 시도하고 선한 영향력을 행사할 필요성에 접근한다.
“2. 휴머니즘의 빛과 그림자”는 포스트 휴머니즘에 대한 기술과 분석이다. 포스트 휴머니즘의 역사적 출현 과정, 그에 대한 철학적 비판과 그 함의를 체계적으로 기술한다. 나아가 이 사상에 대한 대응으로 포스트 휴머니즘에서 근대성으로 회귀도 아닌 종말론적 파국도 아닌 새로운 문화 철학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3. 뉴트로 문화로 드러난 이미지 지배의 사회”는 우선 한국의 신세대에 확산하는 뉴트로 현상에 주목한다. 뉴트로 현상을 문화적 혼종성, 시뮬라시옹, 프랙털 등의 개념들로 분석하고 뉴트로 현상의 바탕에 있는 기호 자본주의 전략, 뉴트로에 내장된 이미지 지배 자본주의 전략을 비판하며 이에 대한 기독교의 영성적 대응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4. 뉴미디어 사회 속 ‘인플루언서’ 현상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은 현대 사회의 테크놀로지에 기반한 새로운 미디어가 다양하게 등장하고 이에 따라 이 뉴미디어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의 등장에 주목한다. 인플루언서는 기업, 마케터, 개인 등 그 주체를 구분하여 분석하고 과거에 기독교가 수용아니면 배척이라는 이분법적 태도를 가졌던 것을 비판하면서 기독교는 뉴미디어의 새로운 비평자로서 감시자, 해석자 그리고 생산자로서 대응하여야 한다고 제안한다.
“5. 가상세꼐와 증강현실에 상주하는 디지털 세대에 대한 전도 가능성”도 e-s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