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광주로 가는 길
지역의 풍경: 빽빽한 아파트와 텅 빈 구도심│왜 ‘낡은’ 호남문제를 들추는가│자립을 위한 직시│글의 구성│함께 쓴 사람들
1장 반도의 흑인 또는 아일랜드인
호남문제는 인종 문제다│전라디언의 탄생Ⅰ: 명문고와 엘리트 경쟁│전라디언의 탄생Ⅱ: 도시 하층 노동자의 대군│정체성의 형성: 5·18과 야구│진짜 호남인은 이중차별을 받는다
2장 ‘산업화 열차의 꼬리칸’이라는 문제
남강의 지주는 휴대폰을 만들고, 영산강의 지주는 폰팔이를 하지│“광주는 핵심 기술을 가진 업체가 없어요.”│건설업만 우뚝 서 있는 곳│소득과 불평등의 상태│‘헬호남’을 떠나는 청년들
3장 흔들리지 않는 패권, 민주당 초우위의 비결
지역패권정당의 역사적 기원│인구 150만-당원 35만 사회의 작동 방식│호남은 왜 ‘대세추종형’ 지지를 하는가│민주당: 호남당에서 마포·용산·성동의 당으로│취약한 대안│지역정치의 정체와 낙후
4장 부패와 무능의 도시
학동 참사가 보여주는 지역의 부패│기득권 이익 수호 카르텔│메가 프로젝트의 총체적 난국: 아시아문화전당의 경우│팽배한 비관론: 광주형 일자리의 경우
5장 지방지배체제의 균열
텅 빈 고속도로는 누구를 위한 것일까│주변부화되는 지역│왜 광주만 코스트코·스타필드가 없나요?
6장 이중차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소수파의 지방의회 진출을 보장하라│독자적 발전 모델, 독자적 경제권의 창출│새로운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나오며∥호남의 미래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중앙 정치권력 의존의 악순환│익숙함과의 결별이 필요하다│스스로의 필요와 언어로 구축된 담론을 만들자
주
참고문헌
★★★★★★
오래된 이야기에서 시작해,
그곳에 똬리 튼 수많은 ‘민낯’을 드러내는 시도
매년 5월과 선거철에만 소환되는 지역이 있다. 호남이다. 5·18민주화운동의 뜨거운 정신으로 기억되고, 민주당의 정치적 기반으로 자리하는 호남. 어딘지 모르게 고맙고, 또 어딘지 모르게 미안한 지역. 우리가 호남을 기억하는 긍정적인 방식은 여기까지다. 이어지는 키워드들. 낙후, 소외, 침체 그리고 차별.
《세습 중산층 사회》를 통해 불평등 사회에 날카롭고 묵직한 화두를 던졌던 저자가 ‘지역 문제’로 돌아왔다. 전작에서 90년대생이 겪는 불평등에 천착했다면, 이번에는 보편의 문제와 특수한 사정이 옭아매는 한국 내 유일한 지역 “호남”에 주목한다. 앞서 서술한 호남의 비애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오래된 이야기다. 그런데 책은 2021년, 왜 ‘낡은’ 호남문제를 들추는가. 저자는 두 가지 대답을 들려준다. 먼저 한국 사회가 쌓아올린 모순이 이 지역, 호남에 집약돼 있기 때문이다. 서울이 ‘머리’가 되고 지방이 ‘손발’이 되는 경제적 역할 분리, 개별 지역의 불균등 발전, 이촌향도라고 불리는 대규모 인구이동과 이주민의 도시 하층민으로의 편입, 지역 기반 정당 간의 경쟁 구도, 개별 지역 내부에서 패권적 지위를 갖는 정당의 출현 등을 양적·질적으로 가장 강도 높게 겪었던 곳이 바로 호남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호남이라는 지역이 가진 특수성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여전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호남은 불균등 발전의 희생양이었다. 산업화라는 로켓에 탑승하는 걸 거부당하고, 차별과 모멸을 받고, 거대한 국가 폭력에서 집단 학살의 대상이 되는 과정은 기실 한 사회의 ‘어둠’을 한 지역에 몰아넣는 것이나 다름없었다(16~17쪽.
여기, 우리 사회가 만들어낸 각양각색의 모순이 두텁고도 끈끈히 덧얽힌 호남을 집요하게 파헤치고 정교히 뜯어보는 책이 출간되었다. 책은 광주를 중심으로 호남이 안고 있는 문제를 다양한 각도와 층위에서 살펴본다. 지역차별, 저발전, 불평등, 산업 및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