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화제편(畵題篇
1. 화제란!
2. 그림의 소재가 갖는 의미
1 뜻의 항목별 분류
2 개체별로 갖는 상징의 뜻
3 복합성화 된 그림의 뜻
3. 공통적인 화제
4. 소과의 한자명
5. 사군자
1 난(난초
2 죽(대나무
3 매(매화
4 국(국화
6. 산수화
1 사계 공통
2 춘(봄
3 하(여름
4 추(가을
5 동(겨울
7. 화조화
1 화훼(花卉
(1 수선화
(2 동백
(3 철쭉
(4 복숭아꽃
(5 버드나무
(6 목련 52
(7 자목련
(8 등꽃 53
(9 협죽도
(10 나팔꽃
(11 불두화
(12 수국화
(13 창포
(14 백합
(15 모란(목단
(16 무궁화
(17 능소화
(18 장미
(19 연꽃
(20 해바라기
(21 맨드라미꽃
(22 부용화
(23 오동
(24 파초
(25 갈대
(26 소나무
2 소과(蔬果
(1 수세미
(2 조롱박
(3 참외
(4 수박
(5 호박
(6 복숭아
(7 비파
(8 포도
(9 감
(10 밤
(11 석류
(12 여지
(13 불수감
(14 배
3 초충(草蟲
(1 초충
(2 나비
(3 잠자리
(4 사마귀
(5 매미
4 어개(魚介
(1 물고기
(2 잉어
(3 새우
(4 게
(5 가재
(6 조개
(7 개구리
5 조류(鳥類=새
(1 화조
(2 참새
(3 까치
(4 꾀꼬리
(5 비둘기
(6 닭
(7 금계
(8 꿩
(9 학
(10 두견
(11 노안
(12 오리
(13 원앙
(14 백로
(15 제비
(16 매
(17 독수리
(18 앵무
(19 공작
(20 팔가조, 구관조
(21 백두조
(22 물총새
6 축수(畜獸=가축, 주수(走獸=길동물
(1 소
(2 말
(3 개
(4 사자
(5 다람쥐
(6 토끼
(7 양(염소
(8 코끼리
(9 고양이
(10 사슴
(11 호랑이
(12 원숭이
8. 화제
출판사 서평
머리말
지난 수십여 년에 걸쳐 동양화(東洋畵의 기법(技法을 연구(硏究하여 시리즈(series로 여러 권의 책을 출간(出刊한 바 있기에, 주변에선 마지막 열 번째의 책은 언제쯤 나올 건가를 묻는 이가 많았으나 답변을 못하고 고심하던 중, 서화(書畵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전각(篆刻과 화제(畵題를 비롯하여 부록에 구도(構圖까지의 자료들을 한데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해 보았으나, 사정에 의해 마음을 달리하여 전각을 빼어내고 “화제와 부록편의 구도”만으로 재차집필(再次執筆하게 되었다.
동양의 회화(繪畵에서 화...
머리말
지난 수십여 년에 걸쳐 동양화(東洋畵의 기법(技法을 연구(硏究하여 시리즈(series로 여러 권의 책을 출간(出刊한 바 있기에, 주변에선 마지막 열 번째의 책은 언제쯤 나올 건가를 묻는 이가 많았으나 답변을 못하고 고심하던 중, 서화(書畵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전각(篆刻과 화제(畵題를 비롯하여 부록에 구도(構圖까지의 자료들을 한데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해 보았으나, 사정에 의해 마음을 달리하여 전각을 빼어내고 “화제와 부록편의 구도”만으로 재차집필(再次執筆하게 되었다.
동양의 회화(繪畵에서 화면(畵面의 여백(餘白에 그림과 함께 어울려 흥취(興趣를 한결 북돋는 것이 화제(畵題이기에 사군자(四君子를 비롯하여 문인화(文人畵, 화조화(花鳥 畵, 산수화(山水畵 등을 공부하다 보면 화면의 구도상 균형적 조화(調和의 조건에 따라 화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그림의 여백에 그림의 내용에 알맞는 의미의 시구 (詩句인 화제(畵題를 써넣을 경우, 이는 화면의 구도(構圖에 포함(包含되기에 화제의 처리가 적절해야 한다. 화제를 써넣는 데는 이미 서예(書藝에 대한 기초가 서 있어야 옳을 것이다. 그러기에 동양화를 공부한다는 것은 서예도 같이 겸해야 한다.
필자가 먼저 발간한 저서들 중 몇 권은 후편에 간단한 시구의 화제들을 제시했던 것들을 다시 한 곳으로 모아 여기에 새롭게 더 보충한 것이 본 책의 화제편(畵題編이 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