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활용법 6
간단히 살펴보는 식물학의 역사 8
제1장 식물계
조류 12
이끼류 14
지의류 18
양치식물: 고사리와 그 친척들 19
겉씨식물: 구과식물과 그 친척들 22
속씨식물: 꽃식물 25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 28
식물의 명명과 일반명 29
식물의 과 31
속 34
종 36
잡종과 재배품종 39
제2장 성장, 형태, 기능
식물의 성장과 발달 44
눈 51
뿌리 56
줄기 62
잎 66
꽃 71
종자 74
열매 78
알뿌리와 그 밖의 지하부 양분 저장기관 82
제3장 내부 작용
세포와 세포분열 86
광합성 89
식물의 영양 91
물과 양분의 배분 96
식물 호르몬 98
제4장 생식
영양생식 102
유성생식 110
식물 육종-재배를 통한 진화 118
제5장 생명의 시작
종자와 열매의 발달 124
종자의 휴면 125
종자의 발아 126
씨뿌리기와 씨받기 132
종자 보관 134
제6장 외적 요인
토양 138
토양의 pH 144
지력 145
토양의 수분과 빗물 148
양분과 비료주기 152
토양 위에서의 생활 153
제7장 가지치기
가지치기를 하는 이유 160
큰키나무의 가지치기 164
크기와 수형을 위한 가지치기 170
꽃과 열매를 보기 위한 가지치기 172
제8장 식물과 감각
빛 감지 178
냄새 감지 184
유인을 위한 향 185
진동 감지 186
제9장 해충, 질병과 이상증상
유해 곤충 190
그 밖의 일반적인 해충 194
균류와 곰팡이병 198
바이러스성 질병 203
세균성 질병 205
기생식물 207
식물의 자기방어법 209
병해충 내성 품종 개발 214
생리적 이상 215
참고문헌과 웹사이트 220
찾아보기 221
옮긴이 후기 226
식물학자와 정원가의 다른 시선
정원가에게 왜 ‘식물학’이 필요할까? 정원가의 관점에서 볼 때, 식물의 분류는 ‘큰키나무인가, 떨기나무인가, 다년생인가, 알뿌리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된다. 식물학자도 이런 구분을 알고는 있지만, 분류학(과학적 분류은 이런 구분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 식물계에 속하는 유기체는 그들의 진화적 집단으로 구분되는데(학교 다닐 때 배웠던 생물의 분류-종속과목강문계-를 떠올려 보자, 비교적 단순한 조류에서 시작하여 더 고도로 발달한 꽃식물로 끝난다. 이런 식물 분류가 복잡해 보이거나 쓸데없는 지식처럼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식물이 어떻게 분류되는지 알면 정원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의 진가를 더 잘 음미하는 데도 도움이 되고,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튼튼한 토대가 되어 준다.
식물의 분류(식물의 종류뿐 아니라 잡종과 재배품종의 명명법까지를 파악하는 것으로 시작한 이 책은 본격적으로 식물의 형태와 성장, 번식에 대해 알아본다. 모든 생물이 그렇듯이, 식물도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그 세포가 분열하고 확대되는데, 이것이 성장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영양분은 흙에서 오고, 새로운 세포를 만드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주로 햇빛에서 온다. 식물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빨대와 같다. 토양에서 물과 양분을 빨아들여 줄기를 통해 잎으로 보내고, 잎에서는 증발(더 정확히는 ‘증산작용’을 통해 물이 빠져나간다. 양분은 관다발 조직을 통해 식물체 전체를 순환하고, 식물의 생장을 조절하는 호르몬도 관다발을 통해 이동한다. 정원가는 결국 자신의 정원에 맞는 형태의 식물을 고르고 잘 성장시켜 수확하는 일을 하는데, 이에 대한 지식은 정원가에게 필수적이다.
수확이란 정원가보다는 농부에게 더 중요한 개념인 듯 여겨진다. 하지만 정원가에게도 식물 번식에 관한 지식과 기술은 필수적이다. 어떤 식물이 종자를 맺기 위해 꽃가루받이가 필요할까, 또 어떤 식물을 포기나누기, 접붙이기, 꺾꽂이 등으로 개체를 늘릴까? 채종한 종자와 땅에서 캐낸 알뿌리는 어떻게 보관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