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케이컬처 시대의 뮤직 비즈니스
저자 김정섭
출판사 한울아카데미
출판일 2021-12-10
정가 26,000원
ISBN 9788946080010
수량
1부 음악 산업의 이해

1장 대중음악의 역사와 흐름

2장 음악 산업의 범위와 구조

3장 음악 산업의 현황과 성장세

4장 음악 시장의 키 플레이어들

5장 음악산업 관련 정책과 법률

6장 음악 저작권과 수익 배분


2부 뮤직 비즈니스의 실제

7장 뮤직 비즈니스의 개요

8장 아티스트의 개발과 육성

9장 뮤직 프로듀싱과 퍼블리싱

10장 콘서트 기획과 제작

11장 뮤직 비즈니스 경영과 창업·취업

12장 뮤직 비즈니스 성공사례 분석
책 속에서


2019년 세계 음악시장 매출액을 국가별로 살펴볼 때 ‘세계 10대 시장’은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한국, 중국, 캐나다, 호주, 브라질로 나타났다. 미국이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일본이 2위, 한국이 6위(6조 원대를 나타냈다. _3장 음악 산업의 현황과 성장세, 12쪽


우리 음악이 중국, 동남아로 확산되어 케이팝 신드롬을 일으킨 것은 수많은 현지 청소년들의 불법 복제나 다운로드에 의한 감상이 상당 부분 기여했다는 분석도 있기 때문에 음악 유통에서 무조건 저작권 보호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 필요할 경우 전략적으로 저작권 공유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_6장 음악 저작권과 수익 배분, 153쪽


한국의 뮤직 비즈니스는 가수를 육성하고 음반을 내는 기획사가 모든 것을 책임지고 아티스트(가수에게 ‘원스톱 풀 서비스(one stop full service’를 제공하는 구조라서 기획사의 힘이 막강하다. 기획사는 모든 투자 위험과 책임 부담을 지는 대신, 사업이 잘되면 수익도 가장 많이 취한다. 따라서 소속사에 속한 가수들은 스타로 뜨기 전까지는 실제 불공정함을 느끼더라도 많은 것을 감내하는 편이다.

반면 미국은 대체적으로 가수를 중심에 두고 그의 비즈니스 일정 및 성장 관리에 필요한 매니저, 음악 기획과 창작을 맡는 프로듀서와 작사·작곡가, 녹음을 담당하는 리코딩 전문가와 레코드사, 계약과 분쟁을 담당하는 법률 전문가, 콘서트 투어를 담당하는 에이전트, 패션과 뷰티 메이크업을 돕는 스타일리스트 등 각 영역의 전문가들이 붙어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회사 내에 음악 사업 가치사슬의 모든 조직을 갖추고 있지 않으며, 모든 것을 책임지지도 않는 분업·협업 체제다. _7장 뮤직 비즈니스의 개요, 176쪽


음악에서 ‘출판’이라는 표현은 사람들로 하여금 도서 출판과 혼돈을 불러일으켜 뮤직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한다. 금속활자 인쇄술 발명 이후 이탈리아 베니스에서는 1501년에 악보를 인쇄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