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6
제1장 도입 19
21세기를 위한 자세 21
21세기 학습 연구의 토대 29
평가의 근본적 변화 46
성취기준과 스킬 48
제2장 21세기 스킬의 종합 55
사고 스킬 60
행동 스킬 64
삶의 스킬 69
결론 및 패러다임 73
제3장 21세기 평가의 기본원칙 77
가치 있는 변화 79
좋은 평가의 기본원칙 81
최종 결과에서 시작하기 84
21세기의 국가공통핵심성취기준 86
21세기 평가의 기본원칙 89
평가전략의 통합 93
21세기 평가에 따르는 어려움 96
제4장 21세기 평가의 전략 99
연속선상에 있는 스킬과 지식 평가하기 102
참학습과 대안적 평가 103
21세기 평가전략들 107
21세기 평가의 3가지 측면 119
제5장 사고 스킬 평가 121
비판적 사고 122
문제해결 133
창의성 140
메타인지 158
마지막 고려사항 170
제6장 행동 스킬 평가 173
의사소통 174
협업 193
디지털 리터러시 207
비주얼 리터러시 223
기술 리터러시 229
마지막 고려사항 244
제7장 삶의 스킬 평가 247
시민·시민의식 스킬 249
글로벌 이해 256
리더십과 책임감 268
대학 및 직업세계·직장에서의 스킬 275
마지막 고려사항 285
제8장 다목적 평가 287
프로젝트 수업 288
포트폴리오 305
제9장 21세기형 평가로의 전환 321
실행 322
리더십 324
정책 325
초점 바꾸기 330
낡은 것을 버리고 새로 시작하기 334
부록 339
부록A: 21세기 루브릭 340
부록B: 21세기 교안 365
부록C: 질의 및 응답 371
참고문헌 384
찾아보기 394
미래 변화에 대응할 역량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 수 있을까?
이 책의 출간이 이보다 더 시의적절할 수 없다!
놀랍게도, 이 책 『수업에 바로 쓸 수 있는 역량평가 매뉴얼』과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발표」 내용 중 상당 부분이 겹친다. 일찍이 미국의 국가공통핵심성취기준(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은 학생들이 미래의 대학과 일터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명확하게 정의한 바 있다. 예컨대, 창의력, 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디지털 역량, 협업, 리더십, 의사소통, 시민의식, 메타인지 등 이른바 21세기 핵심 역량이라 불리는 미래의 생존 역량이다. 문제는 이러한 역량을 어떻게 가르칠 것이며, 역량의 숙달도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에 있다. 이 책은 그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40여 년 동안 교육계에 있으면서 교사로, 학교 리더로, 교수로, 교육 컨설턴트로 다양한 경험을 해온 저자가 내린 결론은 ‘평가가 교육의 모든 것을 주도(해야 한다.’는 것이었고, 이 책은 평가 및 21세기 역량 연구에 천착해온 저자의 그 결과물이다. 저자는 미래사회의 불확실성에 대응할 핵심 역량을 가르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생생하게,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연구 및 증거를 기반으로 확실하게 보여준다. 특히, 역량과 지식을 대립항으로 보지 않고 탄탄하고 깊이 있는 내용지식이야말로 역량 발휘의 토대이자 기반이라며 내용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한 저자의 통찰은 놀랍다. 이는 과거 2015 개정 교육과정 당시 역량중심교육이 마치 지식중심교육을 대체하는 것처럼 오해했던 한국의 교육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찬찬히 살펴보면 이 책이 한국의 교육계에 얼마나 시의적절한 책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역량평가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있는 독보적인 책!
지금 한국의 교육계에 꼭 필요한 단비 같은 책!
이 책의 놀라운 점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도대체 역량이란 무엇인가?’ 국내외 교육현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