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다 노클린은 미술계를 어떻게 바꿔놓았는가?
‘계시’와도 같았던 논문 탄생을 기리는 50주년 기념 에디션
페미니즘 미술사는 역사 속 여성 미술가들이 소외되어왔고 그 이유가 미술계의 남성중심주의에 있다는 전제하에 미술사에 젠더 관점을 도입해 미술교육, 제도, 문화 전반을 재검토하는 미술사 연구의 흐름이다. 그러한 페미니즘 미술사의 시작을 알린 기념비적인 논문이 바로 린다 노클린이 1971년에 미술 학술지 『아트뉴스』를 통해 발표한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이다. 이 글에서 노클린은 여성 미술가를 충분히 주목하지 않았던 미술계의 관행을 지적하는 데 그치지 않고, ‘명화’를 탄생시키는 사회적인 맥락을 파악하고 이를 드러내 보여줌으로써, ‘위대함’을 중심으로 한 미술계의 낡은 담론을 뒤흔들었다. 이후 작품과 작가에 내재하는 천재성의 신화에서 벗어나 사회적인 맥락에서 미술가와 작품을 비평하는 미술사학자 세대가 배출되기 시작했고, 여성 미술가들은 ‘여성성’이라는 틀에 맞추려는 평단에 맞서 자신의 작품세계를 거리낌 없이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은 노클린의 획기적인 논문 발표 50주년을 기념하며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와 2006년 『밀레니엄 시대의 여성 미술가들』에 실린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 30년 후」를 함께 소개한다. 캐서린 그랜트는 「머리글」에서 두 에세이가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밝힌다. 또한 본문에 배치된 컬러 도판이 독자의 이해를 돕고, 미술가 주디 시카고와 미술사학자 그리젤다 폴록의 추천사가 린다 노클린의 학문적 성과를 뒷받침한다. 특히 우리말로 처음 번역?발표되는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 30년 후」는 퀴어 이론, 인종 및 포스트콜로니얼 연구와 더불어 페미니즘이 번성하는 시대에 쓰인 만큼 완전히 새로운 규범의 출현을 반영하고 있어, 페미니즘 미술사가 걸어온 길과 그 성과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위대함’의 조건은 무엇인가?
미술계의 남성중심주의를 논파한 획기적 논문, 그리고